Fallopia12 하수오 Fallopia ciliinervis 영흥중학교로 넘어가는 고갯마루에서 나무를 타고 올라 수없이 많은 꽃차례를 올리고 있는 하수오 덤불을 만난다. 꽃이 높은 곳에 있어 세밀한 사진을 담을 수 없는 점이 아쉽다.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면서 고구마 같은 붉은빛이 도는 덩이뿌리가 달린다. 총상으로 달리는 원추꽃차례의 흰 꽃은 닭의덩굴이 그렇듯 작고 희미하다. 중국에서 들어와 재배된 약용 식물로 야생화하여 자라는 모습이 종종 관찰된다. '적하수오'라고도 하며 덩이뿌리는 강장, 탈모 등에 약용한다. 2024. 10. 19. 영흥도 ● 하수오 Fallopia multiflora | tuber fleeceflower, Chinese knotweed ↘ 목련강 마디풀목 .. 2024. 11. 6. 삼도하수오 Fallopia koreana 동료들과 떠난 여름 여행 첫 산행에서 뜻밖의 덩굴풀을 만난다. 골짜기 주변에서 눈맞춤하면서 알 듯하면서도 종내 그 이름이 떠오르지 않는다. 심장형의 잎 모양과 메밀 비슷한 줄기의 형태, 세 갈래인 화피를 보면서 마디풀과 덩굴식물인 하수오와 나도하수오를 떠올렸지만 꽃차례가 다르지 않은가~. 닭의덩굴속을 검색하며 가까스로 그 이름을 찾을 수 있었다. 암수딴그루인데 수꽃이 핀 수그루만 만나 닭의덩굴 비슷한 열매를 담지 못해서 아쉽다. 1996년 민주지산 삼도봉에서 발견 신종으로 보고된 삼도하수오는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한반도 고유종이다. 하수오나 나도하수오에 비해 줄기가 왼쪽으로 감기고 이삭꽃차례가 1차 분지하며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고 암술머리의 표면이 돌출되며 화피 날개가 미약하게 발달하는 점이 다르다. .. 2024. 8. 22.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지하철 역 입구 울타리에 닭의덩굴이 있어 담아본다. 열매의 날개 가장자리가 결각 없이 밋밋하고 열매 자루가 가늘게 긴 것으로 보아 큰닭의덩굴이라기보다는 닭의덩굴로 보인다. 잎밑 양쪽 끝이 날카로운 점도 닭의덩굴의 특징에 가까워 보인다. 화기가 지나 꽃을 담지 못한 점이 다소 아쉽다. 영명은 '잡목림의 덩굴식물'이라는 뜻의 'copse bindweed'. 원산지는 유럽, 서아시아로 북반구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2024. 06. 23. 서울 2024. 07. 01. ●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 copse bindweed, thicket bind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한해살이 덩굴풀줄기는 길게 뻗어 다른 물체에 감기고 가지가 많으며 종.. 2024. 6. 28. 하수오 Fallopia multiflora(Reynoutria multiflora) 안면도 민가 지역을 지나다 울타리를 뒤덮고 있는 꽃차례가 유난히 풍성한 닭의덩굴속 식물을 만난다. 열매 모양으로 닭의덩굴이나 큰닭의덩굴인가 싶었는데 난상 심장형의 잎 모양이나 원뿔 모양의 꽃차례로 보아 하수오인 듯하다. 민가에서 기르는 것인지 야생화한 것인지... 일본과 중국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각지에서 재배하며,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자라기도 한다. 덩이뿌리를 강장, 탈모, 우울증에 약용한다. 2017. 10. 29. 안면도 ● 하수오 Fallopia multiflora | tuber fleeceflower, Chinese knotweed ↘ 목련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가늘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 2017. 11. 8. 나도하수오 Fallopia ciliinervis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나 희귀 및 멸종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하수오(F. multiflora)와 닮아 나도하수오라 부르며, 하수오에 비해 땅속줄기의 단면은 븕은색이고 잎은 좁은 난형으로 끝은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맥에 털이 있다. 덩이뿌리는 살균, 소염, 지혈 작용이 있어 '홍약자(紅藥子)'라 하며 약용한다. 줄기는 그 해에 자라나며 굵고 속은 비었다. 전국의 높은 산 산능선을 따라 풀밭에서 자란다. 홍천 ● 나도하수오 Fallopia ciliinervis | Hairy-vein knot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길이가 2m 가량 자라고 많이 갈라져서 엉킨다. 뿌리는 굵은 목질이고.. 2017. 9. 2. 큰닭의덩굴 꽃과 열매 Fallopia dentatoalata 큰닭의덩굴은 유럽에서 귀화한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한해살이 덩굴풀이다. 꽃이 모호하여 관찰하기 쉽지 않은데 주렁주렁 달린 열매 속에 하나 달린 깨알 같은 꽃을 찾아낸다. 마디풀과의 꽃이 그렇듯 큰닭의덩굴은 꽃잎이 따로 없고 화피의 끝부분이 꽃잎의 형태를 형성하여 8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를 감싸고 꽃이 피면서 날개가 자라 열매가 된다. 2016. 09. 24. 남한산성 ● 큰닭의덩굴 Fallopia dentatoalata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한해살이 덩굴풀덩굴성으로서 잔털같은 돌기가 있고 길이 1m 정도 뻗는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화살 모양의 달걀모양이며 길이 3-6cm, 폭 2.5-4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양쪽 돌기의 끝이 둔하다. 엽병은 길이 1-6.. 2016. 9. 29. 호장근 꽃 Fallopia japonica 호장근은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마디풀과의 식물로는 가장 큰 풀이다. '호장(虎杖)'은 '범 막대기'이니 막대기 모양의 줄기에 호피와 같은 붉은 무늬가 있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볕이 잘 드는 냇가나 산기슭에 자라는데, 곧게 벋은 굵은 줄기가 관목처럼 보이지만 초본이다. 가을이 되면 지상부의 줄기는 모두 말라 죽고 이듬해 봄 뿌리에서 굵은 새싹이 돋아나 다시 나무같은 가지를 치며 자란다. ↓ 신구대식물원 ● 호장근 Fallopia japonica | Asian knot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1m 정도이고 곤봉 모양의 뿌리줄기는 목질로 속이 비어 있다. 넓은 달걀형의 잎은 어긋나는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밑은 자른 듯한 모양인데, 잎밑이 둥근 감절대와 다른 특징이.. 2012. 10. 15. 나도하수오 Fallopia ciliinervis, 어린풀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하수오와 아주 닮은 모습이어서 나도하수오라 부른다. 산지 풀밭에서 자라며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희귀하다고 할 정도로 만나기 어려운 식물은 아니다. 2012. 05. 19. 소백산 ● 하수오 Fallopia ciliinervis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여러해살이풀뿌리는 목질이고 줄기는 덩굴성으로 길이 2m 정도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엉킨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달걀 모양으로 잎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긴 잎자루는 잔털이 밀생하고 홈이 파져 있는데 밑 부분에 고리 모양의 마디가 있다. 6∼7월에 줄기나 가지 .. 2012. 6. 8. 호장근(붉은호장근) Fallopia japonica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호장근(虎杖根)이라는 이름은 어린 줄기에 생기는 무늬가 호피처럼 생긴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호장근(虎杖根)이라 하여 이뇨 및 통경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진정제로 쓴다. 제주도에서 만난 이 호장근은 잎맥이 붉은 점으로 꽃과 열매가 붉게 달리는 호장근의 품종 붉은호장근(f. elata)으로 보인다. 붉은호장근은 호장근으로 통합되었다. 한라산 ● 호장근(虎杖根) Fallopia japonica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돋아 포기를 형성하며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이다. 잎 끝이 짧게 뾰족하고 밑은 절저(截底)이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턱잎은 막질이고 길이 6mm 정도.. 2011. 10. 15. 감절대(Fallopia forbesii) 열매, 잎, 줄기 감절대는 호장근과 아주 비슷하여 구별이 쉽지 않은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전국의 산기슭이나 하천 가의 그늘진 곳에 서 자란다. 홍릉수목원 등 수목원이나 식물원에는 호장근이라는 이름표는 있어도 감절대라는 이름표는 없다. 그러나 그 중 상당수가 감절대일 것이다. 홍릉수목원에는 호장근이 아예 없고 감절대만 있지만 이름표는 호장근만 달려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접보시스템에 감절대 항목의 기재문은 "(잎)밑이 둥글다.", "줄기는 자줏빛 점들이 많다."는 두 구절만 적혀 있는데, 호장근과 구별되는 감절대의 뚜렷한 특징이다. ↓ 홍릉수목원 ● 감절대 Fallopia forbesii | Forbes' knot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1.0-2.5m, 윗부분에서.. 2010. 12. 19. 큰닭의덩굴 Fallopia dentatoalata 큰닭의덩굴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덩굴풀로,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길이 1m에 달하며 꽃은 9~10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열매는 세모꼴 심장형으로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 남한산성 > ● 큰닭의덩굴 Fallopia dentato-alata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한해살이 덩굴식물 길이 1m 정도로 다른 물체나 생물을 감고 자라며 돌기가 있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인 화살모양의 난형으로 길이 1~6cm의 잎자루에 달린다. 9~10월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황록색의 꽃이 수상화서로 달린다. 8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수과인 열매는 다소 광택이 있고 검게 익는다. • 나도닭의덩굴(B. convolvulus) : 잎은 화살 모양의 심장형이고 열매에는 날개가 없다. .. 2010. 10. 17. 호장근(Fallopia japonica)과 감절대(Fallopia forbesii) 아차산 생태계공원에 '호장근'이라는 이름의 팻말을 달고 있는 이 풀은 호장근 비슷한 모습이면서도 뭔가 좀 다른 느낌이다. 같은 자리에 호장근과 섞여서 자라고 있는데, 잎 모양이 다른 것이 금방 눈에 띈다. 호장근(Fallopia japonica)의 잎밑이 자른 듯한 절저인데 감절대(Fallopia forbesii)는 둥근 원저! 바로 호장근과 구별되는 감절대의 특징이다. ● 감절대 Fallopia forbesii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1.0-2.5m,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선형의 털이 드물게 있다. 잎은 어긋나며, 원형, 길이 6-11cm, 폭 5-9cm, 밑부분은 둥글고, 끝 부분은 뾰족해진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 2006. 9.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