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iolus3 송곳니기계충버섯(송곳니구름버섯) Irpex consors 선 채로 고사한 참나무 한 그루 전체에 번져 붙었다. 나무 위쪽 버섯은 거의 배착성인데, 아래쪽에만 갓 모양을 갖춘 버섯으로 송곳니기계충버섯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인다. 아마도 윗부분의 배착성 형태인 버섯만 따로 '송곳니단색털구름버섯'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것이 아닐까 싶다. 어쨌든 이 버섯은 한 종임에 틀림없다. 자실체는 반배착생으로 자루가 없는 작은 균모는 중첩해서 층상을 이루는데 얇은 가죽질로 표면은 크림색-적갈색이다. 가는 방사상의 섬유 무늬와 불명료한 테 무늬가 생기고 아랫면의 자실층은 이빨 모양 돌기가 있다. 북한명은 '흙빛밤색기와버섯'이다. 약용과 항암버섯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 죽은 나무 등에 군생한다. 2022. 11. 02. 서울 ● 송곳니기계충버섯.. 2022. 11. 3. 송곳니구름버섯=송곳니기계충버섯 Irpex brevis(Coriolus consors, Coriolus brevis) 갈색의 너와가 다닥다닥 겹쳐져 있는 듯한 송곳니구름버섯. 도감과 백과사전에서는 모두 송곳니구름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는데, 출처불명의 송곳니기계충버섯이라는 이름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북한명은 '흙빛밤색기와버섯'이다. 학명도 종잡을 수 없이 많아 혼란스럽다.(모두 15개나 된다) 대개 구멍장이버섯과로 분류하고 있는데 국립수목원 도감은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구름버섯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죽은 나무 또는 그루터기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함백산 ● 송곳니구름버섯 Irpex brevis(이명 Coriolus consors) ↘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구름버섯속 여러 개의 버섯이 서로 달라붙어 기와를 입힌 것같이 늘어서 붙어 있다. 버섯갓은 지름 1∼3cm, 두께 1∼2mm이고 반원처럼 생겼으며 얇은 .. 2016. 10. 8. 송곳니구름버섯 Irpex brevis 황매산에서 모산재로 내려가는 길, 베어내고 썩은 나무 그루터기에서 무리로 자라난 밝은 갈색의 버섯을 만난다. 버섯 이름이 재미있다. 구름에 송곳니가 나 있는 듯한 모양이라서 송곳니구름버섯(Irpex brevis)이란다. 북한에서는 '흙빛밤색기와버섯'이라 부르는데, 이 버섯 이름만큼은 남쪽 것이 더 낫다.(북한 이름이 예쁜 것이 많지만...) 죽은 활엽수 그루터기에 갈색의 버섯이 다닥다닥 달라붙어 마치 기와를 입힌 것처럼 늘어선 모습이 아름답다.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킨다고 한다. 식용할 수 없다. 황매산 아래 모습을 보면 송곳니구름버섯이란 이름이 붙은 이유를 알 만하지요...? ● 송곳니구름버섯 Irpex brevis ↘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구름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1∼3c.. 2011. 10.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