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nita hongoi3 사마귀광대버섯 Amanita perpasta (흰돌기광대버섯 Amanita hongoi) 아래 두 버섯은 위쪽은 흰돌기광대버섯, 아래쪽은 사마귀광대버섯으로 각각 다르게 인식되어 온 듯하다. 광대버섯 전문 사이트에서는 이 둘을 각각 기재하면서도 흰돌기광대버섯을 사마귀광대버섯으로 배치한 Bas의 분류를 토론 항목으로 기록하고 있다. (아래 '참고 자료' 참조) 사실상 같은 종으로 볼 수 있는 듯하다. 흰가시광대버섯과 비슷하나 자라면서 갈색빛이 짙어져 '갈색가시광대버섯'으로 불리기도 한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속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4. 08. 25. 서울 2024. 10. 01. 서울 ● 사마귀광대버섯 Amanita perpas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2cm로 원추형에서 차차.. 2024. 9. 11. 흰돌기광대버섯 Amanita hongoi, 사마귀광대버섯(Amanita perpasta) '흰돌기광대버섯'이라 불러왔던 종 Amanita echinocephala는 유럽과 미국 북동부에 분포하는 종이다. 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Amanita hongoi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종이다. 유사한 사마귀광대버섯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열대우림, 대만, 일본에서 보고되었다. 이 종의 이미지들은 갓의 원추형 돌기가 굵고 주변 갓 표면이 갈라지거나 자루 밑부분 구근부가 세로로 깊게 갈라지는 형태를 보이는데 기재문에는 기록되지 않은 특징이다. 조덕현의 기재문으로 보면 흰돌기광대버섯에 비해 자루가 더 가늘고 적갈색을 띠는 점으로 구별되는 듯하다. 흰돌기광대버섯의 포자가 더 크고 구형이 아닌 유구형이라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2023. 07. 25. 서울 사마귀광대버섯(.. 2023. 7. 26. 흰돌기광대버섯 Amanita hongoi 광대버섯속의 버섯이다. 흰가시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과 아주 유사하나 갓 표면과 자루에는 유백색에서 연한 황갈색-연한 갈색의 뾰족한 사마귀 반점이 덮여 있어 '갈색가시광대버섯'이라 부르기도 한다. 학명을 Amanita echinocephala로 쓰기도 한다. 사마귀광대버섯(Amanita perpasta)과 동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신갈나무 등 활엽수림의 땅에 홀로 자란다. 2022. 09. 21. 서울 대모산 ● 흰돌기광대버섯 Amanita hongoi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7cm의 중형-대형으로 처음에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평평하게 펴지며 중앙부가 약간 볼록하다. 표면은 유백색에서.. 2022. 10.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