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냉이속6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황새냉이는 두해살이풀이고 큰황새냉이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큰황새냉이는 황새냉이에 비해 작은잎의 수가 적고 정소엽이 특히 크다.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13. 05. 17. 대관령 ●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 양귀비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0-20cm, 전체적으로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갈라져서 작은잎은 3-11장으로 된다. 끝의 작은잎이 가장 크고 가장자리에 둔한톱니가 있다. 잎의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4장이고 넓은 주걱 모양으로 흰색이다. 열매는 각과이고 익으면 2갈래로 터진다. ※ 참고자료 : Cardamine .. 2014. 5. 19. 는쟁이냉이 Cardamine komarovi '는쟁이'는 '명아주'를 뜻하는 말로, 는쟁이냉이는 잎이 명아주를 닮은 냉이이다. 4~5월, 깊은산의 계곡 부근에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의 야생식물로서는 비교적 큰 하얀 꽃을 피운다. 선자령 ● 는쟁이냉이 Cardamine komarovi /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위쪽에서 가지를 치며 높이가 20∼5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길이가 8cm이며 긴 잎자루가 있고 깃꼴로 갈라지기도 한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2∼8cm, 폭이 1∼6cm이며 둥글거나 달걀 모양의 원형이고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고 잎몸이 흘러 날개처.. 2014. 5. 19. 싸리냉이 Cardamine impatiens 싸리냉이는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좁쌀냉이나 황새냉이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데, 턱잎의 유무로 구별하기도 한다. 좁쌀냉이나 황새냉이에는 턱잎이 없지만 싸리냉이에는 귀모양의 턱잎이 있어 줄기를 감싸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잎자루 밑부분을 살펴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황새냉이에 비해 줄기잎이 많고 꽃잎은 거꾸로 선 바소꼴이나 때로 없다. ↓ 2012. 05. 27. 지리산 ↓ 천마산 ● 싸리냉이 Cardamine impatiens ↘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50cm 안팎으로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약간 구불구불해지고 털이 있다. 뿌리잎은 길이 10cm 정도로서 깃꼴로 완전히 갈라지며 갈.. 2012. 6. 29. 미나리냉이, 탐스러운 흰 꽃을 피우는 냉이 냉이만큼 종류가 다양한 것도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실린 것만 해도 60여 종에 육박한다. 미나리냉이(Cardamine leucantha), 깃꼴 겹잎의 잎 모양이 미나리를 연상시켜서 붙은 이름이다.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이 땅의 그늘진 산골짜기 물기 많은 곳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고 하얀 꽃을 피운다. 거의 잡초처럼 취급받는 풀이지만 하얗게 피는 꽃이 탐스럽고 아름답다. '냉이'라는 이름이 붙은 십자화과의 식물 중에서는 는쟁이냉이와 함께 단연 돋보이는 꽃을 피운다. ↓ 대모산 전국의 냇가와 계곡에 흔하게 자란다. 황새냉이속의 다른 식물들에 비해서 겹잎의 작은 잎이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한 점에서 구분된다. 강원도 평창강과 평안남도의 양덕에서 자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 참고추.. 2012. 5. 3. 꽃황새냉이 Cardamine amaraeformis <=왜갓냉이 '왜갓냉이'로 알고 있었던 종으로 꽃황새냉이로 정정한다. 거의 모든 국내 자료들에서 꽃황새냉이로 보고 있는 현실을 따르기로 한다. 왜갓냉이는 포복지를 내는 점에서 황새냉이와 다르다고 하는데 정작 꽃황새냉이 기재문에도 "땅속에 벋는 줄기가 있다."는 구절에 있다. 기재문에 따르면 중부 이북과 러시아 (극동), 일본에 분포하는데 비해 꽃황새냉이는 우리나라 전역과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고 한다. 그런데 정작 왜갓냉이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찾을 수 없다. 두 종이 유사종인 듯한데, 정작 The Plant List에서는 꽃황새냉이와 왜갓냉이를 'Synonym '으로 보고 있다. (참고: http://www.theplantlist.org/tpl1.1/record/kew-2700585) 덕유산 ● 꽃황새냉.. 2011. 7. 1. 미나리냉이 Cardamine leucantha 환하게 무리지어 피는 흰 꽃이 아름답다. 십자화과 황새냉이속 여러해살이풀로 황새냉이속 자생 식물로는 전초가 아주 크다. 잎이 보다 크며 씨방에 털이 있는 것을 통영미나리냉이(var. toensis)라고 한다. 2006. 05. 04. 대모산 ● 미나리냉이 Cardamine leucantha / 양귀비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길게 옆으로 벋으면서 번식한다. 줄기는 높이가 40∼70cm이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5∼7개이고 길이 4∼8cm, 폭 1∼3cm의 넓은 바소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 2006. 5.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