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좁쌀풀속5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 두 종의 교잡종(?) 남한산성 성곽 부근에서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이 혼생하는 곳에서 그 교잡종으로 보이는 어중간한 형태의 까치수염이 함께 자라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기록해 둔다.    2015. 07. 02.  남한산성   ●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전체에 털이 별로 없어 잎이나 줄기가 매끈하며, 잎은 넓고 끝이 뾰족하며 잎자루와 줄기가 이어지는 부분에 붉은 무늬가 있다.            ● 까치수염 Lysimachia barystachys  전체에 털이 많으며 큰까치수염에 비해 잎이 좁고 끝은 둔하다.        ● 두 종의 교잡종으로 보이는 것 1  잎이 좁기는 하지만 형태와 빛깔이 큰까치수염과 닮았으며 까치수염에 비해 털이 훨씬 적다. 두 종의 교잡으로 의심된다.        ● 두.. 2015. 7. 21.
좀가지풀 Lysimachia japonica 들판의 논밭 언덕에서 많은 줄기가 통통하게 자라는 좀가지풀과는 달리 숲속에서 자라는 좀가지풀은 가늘고 잎과 꽃도 듬성하고 작아보인다. 좀가지풀은 이름과는 달리 가지와는 상관이 없고 앵초과 까치수염속(참좁쌀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5. 06. 06.  완주 연석산         ● 좀가지풀 Lysimachia japonica | Japenese Loosestrife  ↘  앵초목 앵초과 까치수염속의 어러해살이풀 줄기의 높이 7-20cm이고 줄기는 비스듬히 서지만 나중에는 옆으로 길게 벋는다. 잎은 대생, 넓은 난형, 길이 6~23mm, 나비 5-15mm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산재한 선점이 마르면 모래알처럼 두드러지며 엽병은 길이 5.. 2015. 6. 9.
참좁쌀풀(Lysimachia coreana) 어린풀, 꽃 참좁쌀풀은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초원에서 자란다. 학명(Lysimachia coreana)이 한국의 리시마키아로 되어 있듯이,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는 한국 특산 식물이다. 참좁쌀풀은 아름다운 꽃이 주목을 받지만 어린풀의 모습에 관심을 두는 일이 드문 듯하다. 대관령에서 만난 참좁쌀풀의 전초를 담아보았다.    2013. 5. 17.  대관령      ● 참좁쌀풀 Lysimachia coreana  ↘  목련강 앵초목 앵초과 참좁쌀풀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높이 50∼100cm이고, 모서리각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것이 있다. 잎은 돌려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 2014. 5. 19.
<중국의 꽃> 홍도까치수영(홍도까치수염) Lysimachia pentapetala 중국 산동 지방에서 처음 만난 꽃, 이름을 몰랐다. 꽃 모양이 어쩐지 까치수영을 닮아서 까치수영 학명으로 검색을 하다가 이것이 우리 땅에서 희귀하게 자생하는 풍도까치수영임을 알게 되었다.  처음 홍도에서 발견되어 홍도까치수염이란 이름을 얻었지만, 지금은 경북 지역과 전남 나주와 담양, 신안 등 10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다고 한다. 중국 산동의 태산과 인근 지역에서는 흔히 발견된다.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쇠까치풀, 쇠꽃꼬리풀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표준어는 홍도까치수영이지만, 국립수목원의 표준명은 '홍도까치수염'이다. (국립수목원은 까치수영을 모두 '까치수염'으로 표기한다.)    2010. 07. 26.  중국 산동 태산         ↓ 중국 산동 이위안(沂源) 구천동 동굴 입구      ● 홍도까.. 2010. 9. 26.
<중국의 꽃> 홍도까치수염 Lysimachia pentapetala 중국 산동 지방에서 처음 만난 꽃, 이름을 몰랐다. 꽃 모양이 어쩐지 까치수영을 닮아서 까치수영 학명으로 검색을 하다가 이것이 우리 땅에서 희귀하게 자생하는 홍도까치수영임을 알게 되었다.  처음 홍도에서 발견되어 홍도까치수영이란 이름을 얻었지만, 지금은 경북 지역과 전남 나주와 담양, 신안 등 10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다고 한다. 중국 산동의 태산과 인근 지역에서는 흔히 발견된다.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쇠까치풀, 쇠꽃꼬리풀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표준어는 홍도까치수영이지만, 국립수목원의 표준명은 홍도까치수염이다.     2010. 07. 25.  중국 산동 이위안(沂源) 구천동 동굴 입구          ● 홍도까치수염 Lysimachia pentapetala  ↘  앵초목 앵초과 참좁쌀풀속의 여러해.. 2010.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