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버섯과7 동양뿌리버섯 Heterobasidion orientale 우중 평창의 숲속, 전나무 그루터기에서 발생한 뿌리버섯은 서울에서 줄곧 만나던 민뿌리버섯과 갓의 색깔 배열이나 관공의 형태가 다르다. 동양뿌리버섯으로 직감된다. 갓 표면의 테두리의 흰색이 밑부분의 적갈색과 깨끗한 경계를 이루고 잡티 없이 깨끗하며 관공은 미로형이다. 민뿌리버섯은 적갈색이 밑부분에 있고 관공이 비교적 일정한 크기로 구멍이 길며 규칙적이다. 초여름~가을,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재목에 겹쳐서 발생한다. 2024. 09. 21. 평창 ● 동양뿌리버섯 Heterobasidion orientale ↘ 무당버섯목 뿌리버섯과 뿌리버섯속 자실체는 자루가 없이 반배착생이며 어릴 때는 가죽질이다가 점차 나무같이 질겨지고 겹쳐서 발생한다. 습할 때는 물방울을 분비한다. 갓의 크기는 2... 2024. 10. 10.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지난 겨울 리기다소나무 재목으로 등산로를 정비한 뒤에 재목 곳곳에서 민뿌리버섯으로 보이는 서로 상이한 형태의 버섯들이 발생한다. 어떤 종류는 처음부터 미세한 관공만 보이는 배착 버섯으로, 또 어떤 것은 덩어리 모양으로 뭉쳐진 부착 버섯으로, 도 다른 종류는 선반 모양으로 갓을 형성하며 윗면 밑부분은 적갈색을 띠고 가장자리는 흰색~연한 황색빛을 띠는 버섯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버섯의 형태로 구멍장이버섯목일 듯하지만 무당버섯목 뿌리버섯과로 분류되고 있다. 침엽수 재목이나 그루터기 등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세계적으로 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8. 25. 서울 2024. 09. 03. 위의 버섯이 변화한 모습 2024. 09. 06. 서울 2024. 09... 2024. 9. 21.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리기다소나무 그루터기에 민뿌리버섯이 질긴 목질로 반원형을 이루며 겹쳐서 발생하였다. 자실체 윗면 밑부분은 적갈색을 띠고 가장자리는 흰색~연한 황색빛을 띠며, 아랫면은 흰색~크림색으로 촘촘한 관공이 발달하였다. 거기서 좀 떨어진 목재더미에서는 밑부분에 황색끼가 있고 전체적으로 흰 작은 버섯들이 발생하였는데 관공이 미세한 편으로 같은 버섯으로 추정된다. 침엽수의 밑동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세계적으로 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8. 30. 서울 그루터기가 아닌 소나무 재목에서 발생한 버섯으로, 관공이 발 보이지 않는 등 형태가 다른데 같은 민뿌리버섯으로 짐작되나. 다른 종일 가능성도 있다. ●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 무당버섯.. 2024. 9. 18.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등산로 방벽으로 세운 리기다소나무에서 발생한 버섯이 영지버섯(불로초)처럼 생겼다. 자루가 없는 민뿌리버섯이 자루의 모형태를 갖춘 특이한 형태이다. 자실체는 목질로 질기고 반원형을 이루며 반배착성으로 겹쳐서 발생한다. 자실체 윗면의 밑부분은 적갈색을 띠고 가장자리는 흰색~연한 황색빛을 띠며, 아랫면은 흰색~크림색으로 촘촘한 관공이 발달한다. 침엽수의 밑동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세계적으로 아시아에 분포한다. 2023. 09. 18. 서울 2023. 11. 01. 서울 ●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 무당버섯목 뿌리버섯과 뿌리버섯속자실체는 배착성 또는 반배착성의 반원형 갓을 형성한다. 폭은 6cm 내외이며 두께는 2~3cm에 이른다... 2023. 11. 11.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이 산의 리기다나무 그루터기에서 흔히 만나는 뿌리버섯과 뿌리버섯속의 버섯이다. 자루가 없는 자실체는 목질로 질기고 반원형을 이루며 반배착성으로 겹쳐서 발생한다. 자실체 윗면의 밑부분은 적갈색을 띠고 가장자리는 흰색~연한 황색빛을 띠며, 아랫면은 흰색~크림색으로 촘촘한 관공이 발달한다. 2023. 08. 04. 서울 2023. 08. 02. 서울 ●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 무당버섯목 뿌리버섯과 뿌리버섯속 자실체는 배착성 또는 반배착성의 반원형 갓을 형성한다. 폭은 6cm 내외이며 두께는 2~3cm에 이른다. 표면은 밋밋하고 흰색에서 점차 짙은 갈색의 환(環) 무늬가 나타난다. 자실층은 구멍형으로 2~3/mm, 관공의 두께는 1~7mm에 이른다. 균사체계는 이균사형으로 .. 2023. 8. 8.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리기다소나무가 많은 이 산에서 가끔씩 만나게 되는 이 버섯, 주위에 아까시나무나 신갈나무 밑둥치에 붙어서 흔하게 자라는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과 윗면이 아주 흡사한 모습이다. 자실층 구멍이 비교적 크게 나타나고 관공의 두께는 7mm에 이른다. 뿌리버섯과 뿌리버섯속의 버섯이다. 2022. 09. 07. 서울 대모산 ●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 무당버섯목 뿌리버섯과 뿌리버섯속 자실체는 배착성 또는 반배착성의 반원형 갓을 형성한다. 폭은 6cm 내외이며 두께는 2~3cm에 이른다. 표면은 밋밋하고 흰색에서 점차 짙은 갈색의 환(環) 무늬가 나타난다. 자실층은 구멍형으로 2~3/mm, 관공의 두께는 1~7mm에 이른다. 균사체계는 이균사형으로 꺾쇠연결을 가지지 않는 .. 2022. 9. 20.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리기다소나무 그루터기에서 자라난 이 버섯, 주위에 아까시나무나 신갈나무 밑둥치에 붙어서 흔하게 자라는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과 너무 흡사하여 혼동에 빠지게 한다. 2022. 09. 01. 서울 대모산 ● 민뿌리버섯 Heterobasidion ecrustosum ↘ 무당버섯목 뿌리버섯과 뿌리버섯속 자실체는 배착성 또는 반배착성의 반원형 갓을 형성한다. 폭은 6cm 내외이며 두께는 2~3cm에 이른다. 표면은 밋밋하고 흰색에서 점차 짙은 갈색의 환(環) 무늬가 나타난다. 자실층은 구멍형으로 2~3/mm, 관공의 두께는 1~7mm에 이른다. 균사체계는 이균사형으로 꺾쇠연결을 가지지 않는 생식균사를 지닌다. 담자기는 곤봉형으로 17~26 × 4.5~7μm의 크기이며, 포자는 난형이고 크기는 5~7 × .. 2022. 9.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