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붉은목이과10

노랑주발목이 Ditiola peziziformis 지실체 크기 1cm 미만의 극소형 버섯으로 윗면은 노랗고 아랫면은 흰 것이 또렷한 특징이다. 잴라틴질로 자루는 없고 주름지기도 하며 가장자리는 굴곡지거나 물결 모양이다.  여름~가을 썩어가는 전나무나 활엽수의 이끼 낀 썩어가는 통나무에 무리짓거나 뭉쳐셔 난다. 한국, 일본, 대만, 러시아, 유럽, 북미 동부에 분포한다.    2023. 10. 24.  경기 구리      ● 노랑주발목이 Ditiola peziziformis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주발목이속 자실체는 지름 5~10mm의 극소형. 종, 원통, 팽이 또는 컵 모양 등 다양하며 폭과 높이가 비슷하다. 자실층의 표면은 밝은 난황색, 일반적으로 약간 오목하거나 편평하지만 때로는 약간 볼록한 것도 있다. 표면은 밋밋하지만 약간 주름질.. 2024. 12. 8.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여름~가을 침엽수의 고사목, 쓰러진 나무, 그루터기, 낙엽 등에 홀로 또는 다발로 발생하는 붉은목이과의 황색 버섯이다. 산호 모양의 황색 버섯은 젤라틴질로 되어 있으며, 섭취 시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유럽, 북미, 동시아 등에서는 흔하게 발생하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2024. 08. 27.  서울    2024. 08. 28.  서울      ●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 yellow stagshorn, jelly staghorn, coral jelly fungus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아교뿔버섯속 자실체는 단생 또는 속생하며, 일반적으로 가지가 많이 분지되지 않은 싸리버섯 모양이고 젤라틴 질의 연골질이다. 건조하면 각질이 된다. 전체가 선명한.. 2024. 9. 13.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여름~가을 침엽수의 고사목, 쓰러진 나무, 그루터기, 낙엽 등에 홀로 또는 다발로 발생하는 붉은목이과의 황색 버섯이다. 산호 모양의 황색 버섯은 젤라틴질로 되어 있으며, 섭취 시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유럽, 북미, 동시아 등에서는 흔하게 발생하고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2024. 06. 25.  서울    2024. 07. 05.   2024. 08. 16.     ●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 yellow stagshorn, jelly staghorn, coral jelly fungus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아교뿔버섯속 자실체는 단생 또는 속생하며, 일반적으로 가지가 많이 분지되지 않은 싸리버섯 모양이고 젤라틴 질의 연골질이다. 건조하면 각질이 .. 2024. 6. 30.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거울에도 계곡 주변 습기 있는 활엽수 줄기 등에서 자라는 붉은목이류로, '분홍빛붉은목이'라는 임시명으로 불리는 Dacrymyces roseotinctus로 보인다. 봄이 깊어지며 숲속 그늘진 곳에서 조금씩 발생하는 모습이 보인다.  식용, 독성 여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주로 활엽수의 재목, 죽은 나무줄기 등에 발생한다.    2024. 05. 16.  서울      ●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붉은목이속  자실체는 아구형에서 부정형 모습을 띠다가 아래 줄기가 분지하며 자란다. 성숙체는 15mm까지 자라며 머리쪽이 커지면서 문고리 모양이나 쿠션 모양이 된다. 색은 연한 살색에서 핑크색이다. 머리 가장자리는 굽은 파도형이거나 .. 2024. 5. 21.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거울에도 계곡 주변 습기 있는 활엽수 줄기 등에서 자라는 붉은목이류로, '분홍빛붉은목이'라는 임시명으로 불리는 Dacrymyces roseotinctus로 보인다. 봄이 깊어지며 숲속 그늘진 곳에서 조금씩 발생하는 모습이 보인다.  식용, 독성 여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주로 활엽수의 재목, 죽은 나무줄기 등에 발생한다.    2024. 05. 09-10.  서울       ●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붉은목이속  자실체는 아구형에서 부정형 모습을 띠다가 아래 줄기가 분지하며 자란다. 성숙체는 15mm까지 자라며 머리쪽이 커지면서 문고리 모양이나 쿠션 모양이 된다. 색은 연한 살색에서 핑크색이다. 머리 가장자리는 굽은 파도형.. 2024. 5. 12.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등산로 나무 방벽 틈에서 발생한 붉은목이과의 황색 버섯이다. 자실체는 산호 모양으로 대의 구분이 없고 조직은 젤라틴 형태의 연골질이며 자실층은 전면에 형성된다.  여름~가을 침엽수 고목이나 낙엽 위에 홀로 또는 뭉쳐 난다.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버섯으로 섭취 시 수십 분 내에 증상이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4시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진다. 다량 복용한 경우 혼수, 경련, 사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2023. 07. 20.  서울      ●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아교뿔버섯속 자실체는 일반적으로 밑동에서 가지가 많이 분지되지 않은 싸리버섯 모양. 젤라틴질을 가진 연골질이다. 건조하면 각질이 되고 단단해진다. 전체가 선명한 오렌지 황색-오렌지 색 또는 진.. 2023. 7. 25.
주황혀버섯(노란주걱혀버섯) Dacryopinax spathularia 살은 부드러운 젤라틴질인데 건조해지면 딱딱한 골질로 변한다. 자실층은 한쪽면에만 생기고 마르면 한쪽이 흰색으로 변하며 자실층은 황색면에 발달한다. 국가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에서는 '혀버섯',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에서는 '노란주걱혀버섯'이라는 국명을 각각 따로 쓰고 있다.  침엽수 고목의 갈라진 틈새에 일렬로 무리를 지어 나거나 쓰러진 고목, 나무계단, 평상 등의 벌어진 틈새에도 난다. 목재를 분해하여 자연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2023. 07. 10.  서울      ● 주황혀버섯(노란주걱혀버섯) Dacryopinax spathularia  ↘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혀버섯속자실체는 높이 1~1.5cm로 머리 부분과 자루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는 아교질의 주걱 또는 부채 모양, 자루는 .. 2023. 7. 13.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대모산 낮은 능선부에 쌓아놓은 참나무류 더미에서 꽃흰목이나 붉은목이와는 다른 목이류를 만난다. 느낌에는 흰목이류가 아닐까 싶어 검색을 해보니 결절흰목이(Tremella encephala)와 많이 닮은 듯하면서도 형태적 차이가 있다. 전문가의 도움으로 붉은목이류로 아직 국명이 정해지지 않은 '분홍빛붉은목이'(Dacrymyces roseotinctus)로 동정한다. 식용, 독성 여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주로 활엽수의 재목, 죽은 나무줄기 등에 발생한다.    2023. 06. 27. 서울      ●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붉은목이속  자실체는 아구형에서 부정형 모습을 띠다가 아래 줄기가 분지하며 자란다. 성숙체는 15mm까.. 2023. 7. 10.
혀버섯 Guepinia spathularia 침엽수 고목의 갈라진 틈새에 무리지어 자라는 키 1~1.5cm 정도의 아주 작은 버섯이다. 야외에 설치된 시설의 목재에서 종종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렌지빛을 띠며 붉은목이과에 속한다. 2017. 10. 04. 합천 가회 ● 혀버섯 Guepinia spathularia ↘ 붉은목이과 혀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1-1.5㎝로 아교모양의 연골질인 작은 버섯이고 거의 주걱 모양, 전체가 등황색이며 건조하면 한쪽은 백색으로 된다. 자실층은 등황색 면에 발달한다. 포자의 크기는 7-10.5×3.5-4㎛로 싹트기 전에 1장의 격막을 만든다. 담자기는 Y자형이고 2개의 가지 끝에 난형 또는 소시지 형의 포자가 붙는다. 발생은 1년 내내 침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는 목재부후균이다. 2017. 10. 14.
아교뿔버섯 = 싸리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아교뿔버섯은 침엽수의 고사목, 쓰러진 나무, 그루터기 등에 홀로 또는 다발로 발생하는 붉은목이과의 황색 버섯이다. 사 산호 모양의 황색 버섯은 젤라틴질로 되어 있으며, 섭취 시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2015. 09. 12.  무릉계곡       ● 아교뿔버섯 Calocera viscosa   /  붉은목이과 아교뿔버섯속자실체의 높이는 2.5~5cm이고 산호 모양이며 전체가 선명한 등황색이다. 자실체의 끝은 분지하며 전체면에 자실층이 존재한다. 가지 끝은 작은 원추형으로 0.5~2mm이며 조직은 젤라틴질이다.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버섯으로 버섯을 섭취 후 수십분 내에 증상이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4시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진다. 중독증상은 환각증상을 보이며, 다량을 복용한 경우 혼수, 경.. 2015.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