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독버섯6

유방암 치료 맹독 버섯, 붉은사슴뿔버섯 Trichoderma cornu-damae(Podostroma cornu-damae) 늘 다니던 산길, 마른 그루터기 곁에서 발생한 손바닥 모양의 독특한 생명체를 만난다. 동충하초를 연상시키는 모양인데 동충하초로 보기에는 너무 크다. 붉은사슴뿔버섯이지 싶은데 붉은 뿔 형태를 가진 일반적인 붉은사슴뿔버섯과는 색깔이나 모양에서 좀 이질적인 모습이다. 조심스레 뿌리를 파 보니 황적색의 긴 뿌리가 깊이 박혀 있다.  동충하초나 불로초(영지) 어린 버섯으로 오인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여름~가을철 활엽수 혹은 침엽수의 그루터기 위 혹은 그 주위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잇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최근에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호주 등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2024. 09. 23.  서울      ● 붉은사슴뿔버섯 Trichoderma cornu-damae | poison fir.. 2024. 10. 17.
흰주머니광대버섯 Amanita oberwinklerana 독우산광대버섯과 비슷한 모양이어서 구별이 까다롭다. 독우산광대버섯은 갓 표면이 연한 황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주름살이 희고 자루 밑부분이 둥근 큰 주머니 모양의 외피막에 싸여 있고, 흰주머니광대버섯은 갓 표면에 외피막 조각이 붙어 있기도 하고 주름살이 흰색에서 백황색으로 변하며 자루 밑부분이 층을 이룬 듯한 외피막에 싸여 있는데 윗부분은 막질이다. 독우산광대버섯이 흰주머니광대버섯에 비해 크다.  여름에 혼효림 토양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맹독버섯으로 추정된다.    2024. 08. 25.  서울            ● 흰주머니광대버섯 Amanita oberwinkleran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 지름은 3~8㎝ 정도로 종 모양에서 둥근 산 모.. 2024. 9. 9.
흰주머니광대버섯 Amanita oberwinklerana 독우산광대버섯과 비슷한 모양이어서 구별이 까다롭다. 독우산광대버섯은 갓 표면이 연한 황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주름살이 희고 자루 밑부분이 둥근 큰 주머니 모양의 외피막에 싸여 있고, 흰주머니광대버섯은 갓 표면에 외피막 조각이 붙어 있기도 하고 주름살이 흰색에서 백황색으로 변하며 자루 밑부분이 층을 이룬 듯한 외피막에 싸여 있는데 윗부분은 막질이다. 독우산광대버섯이 흰주머니광대버섯에 비해 크다.  여름에 혼효림 토양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맹독버섯으로 추정된다.    2024. 08. 07.  합천 오도산    2024. 08. 18.  서울        ● 흰주머니광대버섯 Amanita oberwinkleran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 지름은 3.. 2024. 8. 21.
독우산광대버섯 Amanita virosa 독우산광대버섯과 흰주머니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이 아주 닮은 모습이어서 구별이 쉽지 않다. 독우산광대버섯은 갓 표면이 연한 황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주름살이 희고 자루 밑부분이 둥근 큰 주머니 모양의 외피막에 싸여 있고, 흰주머니광대버섯(A. oberwinklerana)은 갓 표면에 외피막 조각이 붙어 있기도 하고 주름살이 흰색에서 백황색으로 변하며 자루 밑부분이 층을 이룬 듯한 외피막에 싸여 있는데 윗부분은 막질이다. 독우산광대버섯이 흰주머니광대버섯에 비해 크다. 흰알광대버섯(A. verna)은 자루에 흰색의 섬유상 비늘이 없이 밋밋하여 이 버섯과 구별된다. 영명은 Destroying Angel, 버섯 하나만 섭취해도 사망에 이를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아마톡신과 팔로톡신 등의 작용으로 간과 콩팥에 치명적.. 2023. 11. 25.
회흑색광대버섯 Amanita fuligenia 갈색점박이광대버섯과 비슷한 크기와 모양을 지닌 광대버섯속의 버섯이다. 갓 표면은 어두운 회색의 섬유상으로 중앙부는 검은빛이다. 떨어진 주름살로 흰색이며 촘촘하다. 자루는 갓보다 연한 잿빛 인편이 물결상으로 덮여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영명은 'east Asian brown death cap'이라 불릴 정도의 치명적인 독버섯이다. 여름~가을 참나무과의 숲속에 무리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종으로 아마톡신과 팔로톡신 등의 맹독성 중독으로 중국 남부에서 1994년~2012년에 79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출처 : Amanita fuliginea - Wikipedia) 2023. 09. 19. 서울 ● 회흑색광대버섯 Amanita fuligenia | east Asian bro.. 2023. 11. 17.
흰주머니광대버섯 Amanita oberwinklerana 비 온 뒤에 돋아난 흰주머니 광대버섯, 갓이 채 피어나기도 전인데 대주머니조차도 떡잎처럼 껑충 솟아 올라 있는 모습이 아름답고 경이롭다.  독우산광대버섯과 비슷한 모양이어서 구별이 까다롭다. 독우산광대버섯은 갓 표면이 연한 황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주름살이 희고 자루 밑부분이 둥근 큰 주머니 모양의 외피막에 싸여 있고, 흰주머니광대버섯은 갓 표면에 외피막 조각이 붙어 있기도 하고 주름살이 흰색에서 백황색으로 변하며 자루 밑부분이 층을 이룬 듯한 외피막에 싸여 있는데 윗부분은 막질이다. 독우산광대버섯이 흰주머니광대버섯에 비해 크다.  여름에 혼효림 토양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맹독버섯으로 추정된다.    2023. 09. 02.  서울    2023. 09. 19.  서울   .. 2023.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