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뚝버섯속6

노랑망태버섯 Phallus luteus, 유균 해거름 하산 하는 길, 등산로 입구의 산속 텃밭 가에서 노랑망태버섯 유균을 만난다.  땅속 알에서 자루가 나오고 종 모양 갓이 생기면 갓 안쪽과 버섯자루 위쪽 사이에서 노란 망태가 화려한 드레스처럼 둥글게 펼쳐지며 2시간 정도 지나면 시들어 '하루살이 버섯'이라 불린다.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으로 머리 부분에 악취가 많이 나는데 파리를 유인하여 점액질에 섞여 있는 다량의 포자를 퍼뜨리려는 번식 전략이다.  흰 망태를 펼치며 대나무 숲에서만 나는 망태말뚝버섯과 달리 산지 숲에서 난다. 아열대성 버섯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멕시코 등 열대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죽손(竹蓀)'이라 불리는 흰망태버섯이 식용 버섯으로 평가 받는 데 비해 노랑망태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환영받지는 않는 듯하다.    2024.. 2024. 10. 20.
노랑망태버섯 Phallus luteus 땅속 알에서 자루가 나오고 종 모양 갓이 생기면 갓 안쪽과 버섯자루 위쪽 사이에서 노란 망태가 화려한 드레스처럼 둥글게 펼쳐진다. 하지만 2시간 정도 지나면 시들며 땅에 누워 버려  '하루살이 버섯'이라 불린다.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으로 머리 부분에 악취가 많이 나는데 파리를 유인하여 점액질에 섞여 있는 다량의 포자를 퍼뜨리려는 번식 전략이다.  흰 망태를 펼치며 대나무 숲에서만 나는 망태말뚝버섯과 달리 산지 숲에서 난다. 아열대성 버섯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멕시코 등 열대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죽손(竹蓀)'이라 불리는 흰망태버섯이 식용 버섯으로 평가 받는 데 비해 노랑망태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환영받지는 않는 듯하다.     2024. 08. 08.  합천 오도산    2024. 09. 0.. 2024. 8. 23.
노랑망태버섯 Phallus luteus 여름 장마철에 주로 발생한다. 땅속 알에서 자루가 나오고 종 모양 갓이 생기면 갓 안쪽과 버섯자루 위쪽 사이에서 노란 망태가 화려한 드레스처럼 둥글게 펼쳐지며 2시간 정도 지나면 시들어 '하루살이 버섯'이라 불린다.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으로 머리 부분에 악취가 많이 나는데 파리를 유인하여 점액질에 섞여 있는 다량의 포자를 퍼뜨리려는 번식 전략이다. 흰 망태를 펼치며 대나무 숲에서만 나는 망태말뚝버섯과 달리 산지 숲에서 난다. 아열대성 버섯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멕시코 등 열대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죽손(竹蓀)'이라 불리는 흰망태버섯이 식용 버섯으로 평가 받는 데 비해 노랑망태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환영받지는 않는 듯하다.     2024. 07. 28.  서울       ● 노랑망태버섯 Ph.. 2024. 8. 13.
말뚝버섯 유균 Phallus impudicus 탁구공처럼 생긴 하얀 알이 땅에서 반 이상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반지중생의 말뚝버섯 유균, 크기도 탁구공과 비슷하여 지름 4~5cm 정도이다. 세로로 잘라 보니 가운데에 흰 자루 부분이 크게 자리잡고 있고 그 주변에는 갓 머리 표면이 될 흑갈색의 점액질인 기본체로 가득 차 있고 이 모근 것을 연한 황색의 젤라틴층이 두껍게 감싸고 기본체를 보호하고 있는데, 성장할 때 영양원으로 준비 상태이다. 외부는 백색의 외피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밑부분에 굵고 긴 흰 뿌리 모양의 균사속이 있다. 속명 Phallus는 남성의 성기를, 종명 impudicus는 음란하다는 뜻을 담고 있어 학명은 이 버섯의 특이한 생김새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여름~가을 숲속의 땅이나 정원 등에 홀로 나며 부생 생활한다. 어린 버섯은 식용.. 2023. 9. 5.
말뚝버섯 Phallus impudicus 어린 버섯은 5cm 정도의 흰 알 모양으로 반쯤 땅에 묻혀 있으며 밑부분에는 뿌리와 같은 균사 다발이 붙어 있다. 윗부분이 터져서 버섯이 솟아나온다. 자루는 밑부분이 굵고 윗부분이 가는 둥근 말뚝 모양으로 희고 자루 끝 원뿔형 갓은 다각형의 그물 모양 돌기가 생기고 암녹갈색의 악취가 나는 점액이 붙는다. 속명 Phallus는 남성의 성기를 종명 impudicus는 음란하다는 뜻을 담고 있어 학명은 이 버섯의 특이한 생김새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여름~가을 수풀이나 정원, 대나무 숲 등 부식질이 많은 땅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지어 발생하며 부생생활을 한다. 유균은 식용 가능하다. 2022. 10. 28. 서울 ● 말뚝버섯 Phallus impudicus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 자실체는 어릴 .. 2022. 10. 31.
버섯의 여왕, 망태말뚝버섯(망태버섯, 흰망태버섯) Phallus indusiatus 흔히 '흰망태버섯'이라 불리지만 국생정에서는 말뚝버섯속(Phallus)으로 분류하여 표준명은 망태말뚝버섯이다.(속명 Phallus는 남성의 성기를 뜻하는 말로 버섯의 생김새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품종으로 보는 노란망태버섯(Phallus luteus )과 망태버섯속(Dictyophora)으로 따로 분류하여 망태버섯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버섯의 여왕'이라고도 부르는 화려한 버섯으로 중국에서는 '죽손(竹蓀)'이라 하여 고급 요리에 쓰인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남부지방의 대나무 숲 또는 혼효림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자란다.    2017. 07. 23.  담양      ● 망태말뚝버섯 Phallus indusiatus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갓은 종형이고, 갓 아래 균망이 형성. 자.. 2017.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