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밤나무과8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울릉도 성인봉에만 자생하는 참나무과의 너도밤나무와 이름이 비슷한 나도밤나무! 잎 모양이 밤나무와 닮아서 붙은 이름이지만 가을에 붉은 열매를 다는 나무로 계통적으로 밤나무와는 거리가 먼 나무이다. 남해안에서 섬으로 이어지는 따뜻한 지방에서만 볼 수 있다. 지리산 수피 어린.. 2016. 6. 24. 나도밤나무(Meliosma myriantha), 잎과 수피 나도밤나무는 한국과 일본에서 자생하는 나도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이다. 나뭇잎의 모양이 밤나무와 비슷하여 나도밤나무란 이름을 얻었지만, 밤나무보다는 잎이 약간 크고 잎맥의 숫자도 좀 더 많다. 그리고 참나무과인 밤나무와는 계통이 달라, 꽃과 열매의 모양도 전혀 다.. 2011. 11. 6. 합다리나무 ↓ 홍릉수목원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 | Oldham Meliosma Sabiaceae(나도밤나무과)의 낙엽활엽소교목 높이가 10m에 달하고 가지는 굵으며 소지는 황갈색으로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혁질이고 9-15장이며 엽병이 짧고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 2009. 7. 6.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열매 나도밤나무는 같은 과속종인 합다리나무와 비슷하여 나도합다리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잎이 깃꼴겹잎인 합다리나무(M. oldhamii )에 비해 홑잎이며 측맥은 20-27쌍으로서 많다. 경남이나 전남에서부터 섬 지방으로 이어지는 따뜻한 지역에 분포한다. 국명이 비슷한 너도밤나무(Fagus engleriana ).. 2008. 12. 7. 나도밤나무 꽃 Meliosma myriantha ↓ 홍릉수목원 ●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 무환자나무목 나도밤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 해안 또는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높이가 10m에 달한다. 줄기는 곧게 올라가며 나무 껍질은 갈색이고 작은 구멍인 피목이 많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 2008. 7. 4. 가시칠엽수(마로니에) Aesculus hippocastanum 유럽 남부(그리스, 알바니아, 불가리아 등)가 원산지인 큰키나무로, 흔히 마로니에라고 부르며 서양칠엽수라고도 한다. 열매 바깥면에 밤송이와 같은 가시가 있는 점이 가시가 없는 일본 원산의 칠엽수와 다르다. 프랑스 마로니에 공원으로 널리 알려진 이름으로 수형이 웅장하고 무성하.. 2008. 5. 14. 가시칠엽수(마로니에, 서양칠엽수) Aesculus hippocastanum 유럽 남부(그리스, 알바니아, 불가리아 등)가 원산지인 큰키나무로, 흔히 마로니에라고 부르며 서양칠엽수라고도 한다. 열매 바깥면에 밤송이와 같은 가시가 있는 점이 가시가 없는 일본 원산의 칠엽수와 다르다. 프랑스 마로니에 공원으로 널리 알려진 이름으로 수형이 웅장하고 무성하.. 2008. 5. 14.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나도밤나무 전설 너도밤나무는 오직 울릉도 성인봉에만 자생하는 나무다. 조그마한 세모꼴의 도토리를 달고 있어서 참나무와 같은 집안임을 알 수 있고 밤나무와는 먼 친척뻘로 생각할 수 있겠다. 게다가 잎이 밤나무보다 약간 작고 더 통통하게 생겼지만 전체적으로 밤나무와 매우 닮았다. 그러니 울릉.. 2007. 6.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