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이눈과2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분류, 검색표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분류에 대하여 김영동 교수(한림대 생명과학부) 야사모 기고 글 2002 /03 /28 괭이눈은 우선 잎이 마주나는 무리와 어긋나는 무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잎이 어긋나는 무리로는 산괭이눈, 애기괭이눈이 있습니다. 이 중 산괭이눈은 전국의 낮은 산기슭, 계곡초입의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애기괭이눈 역시 약간 깊은 산에 가면 산중턱쯤의 계곡의 물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애기괭이눈과 산괭이눈 두 종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창복 도감의 그림과 기재문을 참고 하시면 문제가 없습니다. 잎이 마주나는 무리에는 가지괭이눈, 선괭이눈, 털괭이눈 종류가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 괭이눈(도감에 Chrysosplenium grayanum으로 나와 있는 것.. 2009. 4. 13. 꽃잎에 자주색 무늬가 있는 흰괭이눈(큰괭이눈=흰털괭이눈) 흰괭이눈은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괭이눈으로 꽃이 커서 큰괭이눈이라고도 하고 전체에 흰 털이 많아 흰털괭이눈이라고도 부른다. 아랫부분에는 밤빛 털이 난 것도 있다. 남한산에서 만난 흰괭이눈은 노란 꽃잎에 자주색 무늬가 있어 눈길을 끈다. ● 흰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2009. 4.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