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속34 광릉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ivaria 천마산에서 만난 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린가 했는데 광릉족제비고사리라고 한다, 관중과 관중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족제비고사리와 바위족제비고사리의 잡종이라고 하는데, 잎자루의 비늘조각(인편)이 줄 모양으로 빽빽이 나며 사방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이란다. 포자낭군이 작은 깃조각 축 부근에 달리는 모양은 산족제비고사리와 아주 다른 모습이다. 천마산 줄기의 비늘털이 펼쳐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포자낭군이 작은 깃꼴조각 가운데에 달린다. ● 광릉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ivaria | Gwangneung buckler fern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여러해살이풀 잎은 모여나기하며 엽병은 길이 10-20㎝로서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밑부분이 굵다. 비늘.. 2012. 4. 11.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hikonensis 고향의 산 까까운 양지바른 논 언덕 돌틈에 흔하게 자라는 늘푸른 고사리. 잎몸이 그리 크지 않고 양지에서 잘 자라 그냥 족제비고사리인가 했더니 큰족제비고사리이다. 깃조각 최종 갈래조각 가장자리가 이모양 톱니이며, 잎자루 기부의 비늘조각이 흑색인 점에서 다른 유사 분류군들과 구분된다. 제주도를 비롯하여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해안가 지역, 특히, 섬 지방에서 더욱더 우세한 남방계 식물이다. 경남 합천 가회 ●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hikonensis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양치식물 높이는 60cm 정도이다. 뿌리줄기는 굶고 짧으며 끝에서 잎이 모여난다. 족제비고사리보다 잎이 훨씬 크다. 잎몸의 길이는 30~60cm, 폭은 20~40cm로 넓은 달걀 모양이다.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지며 표면에 .. 2011. 12. 28.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비늘고사리는 관중과 관중속의 상록 양치식물로 '곰고사리'라고도 한다. 포자낭군이 달리는 부분은 겨울 동안에는 마르며 햇볕이 약간 드는 곳에서 자란다. 2009. 02. 18. 남한산성 2007. 03. 03. 남한산성 ●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 고사리목 면마과 관중속의 상록 양치식물 덩어리처럼 생긴뿌리줄기에서 잎이 뭉쳐나서 60cm 내외로 자란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고 잎몸보다 짧고 중축과 더불어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큰 비늘조각은 길이 2cm 정도이다. 잎은 2회 깃꼴겹잎이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작은잎조각(小羽片)은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넓어지며 밑에는 대가 있다. 포자낭군은 위쪽 .. 2007. 3. 6. 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bissetiana 산족제비고사리는 산지의 숲 속에 자라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윗부분의 갈래조각이 갑자기 좁아지지 않고 잎 윗부분이 균등하게 작아지는 것이 족제비고사리와 다르다. 경남 합천 남한산 1 남한산 2 ● 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bissetiana / 면마과(Dryopteridaceae) 관중속의 늘푸른 .. 2007. 3. 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