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들빼기4 한라산 고산지대에 자라는 한라고들빼기 Crepidiastrum hallaisanense 한라고들빼기는 한라산 정상 주변 화산암 암석지대에서 자라는 제주도 고유종 국화과 한해살이풀이다. 줄기가 곧게 서는 다른 고들빼기류와는 달리 줄기가 땅바닥으로 기는 점이 뚜렷한 특징이다. 왕고들빼기속(Lactuca)으로 분류해왔으나 최근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서는 고들빼기속(Crepidiastrum)으로 배치하고 있다. 민들레잎을 연상시키는 잎은 깃꼴로 땅바닥에 넓게 퍼지며, 그 위로 여러 개의 줄기가 사방으로 깔린다. 좀씀바귀를 닮은 노란 꽃은 관상화가 없고 설상화로만 구성된다. 뿌리는 가늘다. ●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밑동에서 여러 개가 갈라져 땅에 깔리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가늘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달걀모양으로.. 2011. 10. 15.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이고들빼기는 주로 산지 건조한 땅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로 줄기는 잎을 자르면 흰 액이너오며 맛이 매우 쓰다. 토끼나 소 등 초식동물이 좋아하는 먹이다. 이고들빼기 어린풀 ●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 30∼70cm이다. 줄기는 가.. 2006. 10. 30.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잎이 용의 혀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설채(龍舌菜)'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 남부 원산으로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의 변종(var. dracoglossa)이며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과 잎이 크게 갈라지는 것, 잎의 가운데맥을 따라 보랏빛 점이 있는 것이 있다. 가축의 사료로 쓰기 위해 재배하기도 한다. ●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 Dragon's Tongue / 초롱꽃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1∼2m로,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무렵 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잎 모양은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길이 20∼40cm, 나비 7∼15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없다. 7∼9월에 지름 약 2cm의 노란 꽃이 줄기 끝에서 .. 2006. 7. 16. 숲의 어둠을 밝히는 이고들빼기 Youngia denticulata 모든 것이 져버린 가을 숲속,그 어둠과 호젓함 속에도 숲의 빈터는 따뜻하다.이고들빼기가 불을 밝히고 있어... 2005. 11. 대모산 ● 이고들빼기 Crepidiastrum denticulatum /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 30∼7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자줏빛이다. 가지가 퍼지며 자르면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주걱 모양이며 꽃이 필 때 스러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 길이 6∼11cm, 나비 3∼7cm이며 끝은 둔하다. 밑부분은 귀처럼 되어 줄기를 반쯤 감싸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두화는 지름 15mm 정도로서 산방꽃차례로 달리는데, 꽃이 필 때는 곧게 서고 .. 2005. 11.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