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자과50 유럽나도냉이의 꽃과 열매 Barbarea vulgaris 대관령에서 만난 것으로 줄기에 꽃이 밀착하여 달리는 나도냉이와는 달리 꽃이 줄기에 비스듬히 벌어진 형태로 달린 모양으로 유럽나도냉이임을 알 수 있다. 한 그루에서 동시에 열매를 맺고 꽃을 피웠는데, 높게 자란 줄기는 꼬투리를 맺은 채로 쓰러져 있고 뿌리 쪽에서 새 줄기가 자.. 2007. 12. 25. 물냉이 Nasturtium officinale 유럽과 아시아 북부가 원산지이고 깨끗한 물에서 자란다. 2007. 07. 22 강릉 ● 물냉이 Nasturtium officinale /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녹색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밑 부분은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가장자리.. 2007. 8. 9. 무꽃, 배추꽃 ● 무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흰 꽃을 피운다. ● 무 Raphanus sativus | Radish / 십자화과의 한두해살이풀 큰 원주형 뿌리의 윗부분은 줄기지만, 그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뿌리잎은 1회 깃꼴겹잎이며 어긋난다. 털이 있고 최종갈래조각이 가장 크다. 꽃줄기는 길이 1m 정도 자란 다음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꽃차례가 발달한다.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이다. 십자형(十字形)으로 배열되며 작은 꽃자루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7mm로서 줄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쐐기형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1개의 암술과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다. 열매는 각과(角果)이며, 길이 4∼6cm로서 터지지 않는다. .. 2007. 5. 27. 유럽나도냉이 Barbarea vulgaris 유럽나도냉이는 나도냉이와 아주 비슷한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1993년에 강원도 대관령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주로 강원도 고산지역에 널리 자생하고 있는데, 고랭지에서 잘 자란다. 열매(장각과)가 줄기에 수직에 가깝게 벌어져 달린 모습이 꽃대에 거의 밀착한 듯 달려 있는 나도냉이(B. orthoceras Ledeb.)와 구별된다. 남한산 2007. 04. 30 가리왕산 2007. 05. 05 ● 유럽나도냉이 Barbarea vulgaris / 양귀비목 십자화과 나도냉이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며 높이가 1m 정도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긴 잎자루를 가지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 2007. 5. 24.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황새냉이(C. flexuosa)에 비해 털이 거의 없고 작은잎의 수가 3~11개로 적고, 맨 끝의 작은잎은 측면의 작은잎보다 매우 크다. 강원도 이남 냇가 또는 습지 옆에서 자란다. 합천 가회 ● 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 양귀비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20cm에 달하며 원줄기는 연약.. 2007. 4. 21. 갓꽃 갓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해살이풀 한자로 개채(芥菜) 또는 신채(辛菜)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BC 12세기 주나라 때 이 종자를 향신료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한국에서도 중국에서 들여온 채소류로 널리 재배한다. 높이가 1m 정도로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 2006. 11. 13.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큰황새냉이는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황새냉이가 두해살이풀인 데 비하여 큰황새냉이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황새냉이에 비해 작은잎의 수가 적고 특히 정소엽이 크다. 큰황새냉이 뿌리잎 ●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 십자화과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0-20cm, 전체적으로 털이 없거나 .. 2006. 11. 5. 속속이풀 Rorippa islantica 속속이풀과 개갓냉이(졸속속이풀)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몇 가지 점에서 구별된다. 첫째, 속속이풀이 잎이 깃꼴로 패여져 있는 데 비해, 개갓냉이는 잎의 패임이 거의 없다. 둘째, 속속이풀의 씨방의 길이는 개갓냉이에 비해 1/2~1/3 정도로 짧다. 속속이풀과 좀개갓냉이도 혼동하기 쉬운데,.. 2006. 10. 28. 무 Raphanus sativus 배추와 함께 십자화과의 대표적인 채소이다.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라는 설, 중앙아시아와 중국이라는 설, 중앙아시아와 인도 및 서남아시아라는 설 등이 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 비문에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재배 역사는 아주 오랜 듯하다. 중국에서는 BC 400년부터 재배되었으.. 2006. 6. 8. 다채(비타민채)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꼬마 배추라 부를 만한 녹황색 중국 채소로, 다채는 비타민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비타민채라고도 한다. 비타민 A의 함유량이 생체의 경우 시금치의 2배 정도이다. 본래는 포기를 크게 키우는 것이지만 주로 새싹 채소나 쌈채로 이용되고 있다. 숟가락 모양으로 자라는 잎은 광택이 있는 .. 2006. 6. 8. 청경채 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잎과 줄기가 푸른 데서 청경채(靑莖菜)라 하는데, 중국 화중 지방 원산으로 중국 배추의 일종이다. 중국 요리에 자주 등장하는 채소로 비타민이 풍부하다. 포기째 먹는 야채에 수분이 많아 아삭하게 씹히는 식감이 신선하지만 특별한 맛은 없다. 경기도 용인은 국내 대표적인 청경채 산지.. 2006. 6. 8. 개갓냉이, 또는 졸속속이풀 속속이풀과 닮았으나 잎이 갈라지지 않고 씨방이 더 긴 점이 다르며 졸속속이풀이라고도 한다. 중부 이남의 낮은 지대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 개갓냉이 Rorippa indica /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5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 2006. 5. 28. 말냉이 꽃밭, 열매와 종자 Thlaspi arvense 유럽이 원산지인 십자화과의 귀화식물로서 낮은 지대의 논·밭둑, 들 또는 인가 주변의 빈터에서 자란다. 말냉이의 씨앗 ● 말냉이 Thlaspi arvense /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20∼60cm이다. 잿빛이 섞인 녹색을 띠고 줄기에는 능선이 있으며 털이 없다. 뿌리에 달린 잎은 모여 나와.. 2006. 4. 23. 꽃다지, 작은 유채꽃밭 06. 04. 14 횡성 둔내 ● 꽃다지 Draba nemorosa var. hebecarpa /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약 20cm이다.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빽빽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서며 흔히 가지를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서 방석처럼 퍼지는데, 생김새는 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 2006. 4. 23. 갓꽃, 배추꽃 갓 배추 2006. 4. 1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