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화 식물

국화잎아욱 Modiola caroliniana

by 모산재 2025. 5. 19.

 

제주도 냇가에서 발견된 남아메리카 원산의 아욱과 한두해살이 귀화식물이다. 다른 아욱속(Malva) 식물과 달리 국화잎아욱속(Modiola)이다. 콩팥형의 분과에는 종자가 2개씩 들어 있어 분과마다 3개 이상의 종자가 들어 있는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1개의 종자가 들어있는 아욱(Malva verticillata)과 구별된다.

 

일본, 인도, 남아프리카, 북미, 유럽등지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국화잎아욱 Modiola caroliniana | bristly-fruited mallow, Carolina bristlemallow  ↘  목련강 딜레니아아강 아욱목 아욱과 국화잎아욱속 한두해살이풀 


줄기는 가늘고 길이 15-50㎝, 아랫 부분이 포복을 하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기도 하며, 위 부분은 비스듬히 선다. 잎은 길이 2-6㎝의 잎자루가 있고, 윤곽이 원형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며 5-7편으로 중열되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피고 지름 7-10㎜이다. 꽃대는 길이 1-2㎝이며 열매일 때는 4㎝까지 길어진다. 작은포가 3개 있고, 선형 또는 좁은 거꿀달걀모양이다. 꽃받침은 끝이 5열 되며, 꽃잎은 5개로 길이 3-5㎜, 거꿀달걀모양으로 적등색(赤橙色)이다. 열매는 14-22 분과로 이루어지며 편평하다. 분과는 콩팥 꼴이며 길이 4㎜이고 배면으로 까락이 있고 위쪽에 2,3개의 각상돌기가 있으며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 참고 자료 : wikipedia.org/Modiola  powo.science.kew.org/30017389-2 

 

 

• 국화잎아욱(Modiola caroliniana) : 국화잎을 닮았으며 꽃이 붉은색이다.

• 애기아욱(Malva parviflora) : 둥근잎아욱(M. pusilla)과 비슷하나 열매의 분과 등쪽에 날개가 있다.

• 난쟁이아욱(Malva neglecta) : 꽃잎은 길이 1㎝ 내외로 꽃받침 길이의 2배이며 기부에 털이 없다. 줄기 아래쪽은 지면을 기면서 마디에서 발근하며 윗쪽은 비스듬히 자란다.

• 당아욱(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 붉은 계통의 보랏빛 꽃이 핀다.

 

 

☞ 국화잎아욱 => https://kheenn.tistory.com/15857202 

☞ 국화잎아욱 겨울나기 => https://kheenn.tistory.com/15856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