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 균류

균핵꼬리버섯 Scleromitrula shiraiana

by 모산재 2025. 5. 1.

 

뽕나무 아래 땅, 지난해에 떨어진 오디(뽕나무 열매)에서 오디양주잔버섯(Ciboria shiraiana)과 함께 발생하는 아주 작은 버섯이다. 자실체는 성냥개비처럼 방추형의 머리와 실 모양의 자루로 되어 있으며 기부에는 부정형의 딱딱한 검은색 균핵이 달려 있다. 머리 부분은 자실층으로 세로로 주름진 모양이고 자루는 4-8×1㎜로 가늘고 길다. 균핵은 땅 위에 떨어진 뽕나무 열매(오디) 또는 버드나무류의 꽃이삭에 부착하여 생긴다.

 

뽕나무 꽃이 피는 시기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2025. 04. 29-05. 24.  서울

 

 

 

 

 

땅에 떨어진 오디에서 만들어진 균핵 덩어리들

 

 

 

 

 

● 균핵꼬리버섯 Scleromitrula shiraiana  ↘  살갗버섯목 자루접시버섯과 균핵꼬리버섯속  


자실체는 찌그러진 방추형의 머리와 실 모양의 자루로 구분된다. 기부에 균핵이 있는 작은 버섯이다. 머리는 찌그러진 방추형 또는 대추씨 모양이고 선단은 보통 뾰족하다. 표면은 갈색에 여러 줄의 세로로 된 줄무늬 홈선이 있다. 머리의 전 표면에 자실층이 형성된다. 자루는 길이가 6cm, 굵기가 1mm 정도이나 그 이상이 되는 것도 있다. 기부에는 균핵이 형성되며 이 균핵은 늙은 뽕나무 오디에 붙어서 발생한다.

포자의 크기는 6~10×3~4μm로 난형-강낭콩형이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다. - 조덕현, <한국의 균류 1>, 2016

 

 

 

 

○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 여러 지역에서 오디균핵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병든 과실은 회백색으로 변색되었고, 지상부로 떨어진 후 월동기간 동안 딱딱하고 검은색 균핵으로 변하였다. 뽕나무포장 내 월동균핵으로부터 형성된 자낭반은 5월 상순에 관찰되었으며, 컵 또는 곤봉모양의 두 가지 형태의 자낭반이 형성되었다. 컵 모양의 자낭반을 가진 균은 Ciboria shiraiana, 곤봉모양의 자낭반을 가진 균은 Scleromitrula shiraiana로 동정되었다. 조사된 포장에서 C. shiraianaS. shiraiana는 약 6:4의 비율로 발생하였다. 본 병의 발생은 조사년도, 조사지역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뽕나무포장에서 품종간 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백하형상, 다호조생, 하수상, 재래종 및 사원뽕 22는 본 병에 대해 저항성이었으며, 청일뽕, 대성뽕, 국상20호 및 터키-D는 다소 감수성이었고, 카테네오, 모레지 및 상과는 매우 감수성이었다. 비닐이나 부직포로 지표면을 피복한 포장에서는 피복하지 않은 포장에 비해 병 발생이 훨씬 낮았다. 볏짚으로 피복된 포장에서의 병 발생은 피복하지 않은 포장과 유사하였다.(출처: '국내 오디균핵병의 발생 양상', <Research in Plant Disease> Volume 13, 2007)  

 

 

※ 참고 자료 : koreascience.kr/JAKO200706717286168 

 

 

☞ 오디양주잔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4684 

☞ 오디양주잔버섯, 균핵꼬리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4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