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 균류

흰맥주름버섯(흰크림애주름버섯) Phloeomana alba(Mycena alba)

by 모산재 2024. 7. 12.

 

흰애주름버섯(Mycena alphitophora)보다는 흰맥주름버섯과 닮아 보이는 버섯이다. 흰맥주름버섯은 유럽과 북미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버섯인데 gbif에는 동아시아 발생 기록이 없다. 조덕현이 '흰맥주름버섯'이라는 국명으로 기록하고 있고 '흰크림애주름버섯'으로 불리고 있기도 하다.

 

봄~가을, 이끼류로 덮여 있는 나무껍질에 난다. 너무 작아서 식용 가치는 없다.

 

 

 

 

2024. 07. 05.  서울

 

 

 

 

 

 

 

● 흰맥주름버섯(흰크림애주름버섯) Phloeomana alba(Mycena alba↘  주름버섯목 구멍젖꼭지버섯과 맥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0.3~1.3cm로 어릴 때는 반구형이었다가 후에 둥근 산 모양-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약간 돌출되거나 오목해진다. 표면은 밋밋하고 둔하며 미세하게 가루상이거나 알갱이 모양이다. 유백색-크림 백색이다. 방사상으로 주름이 잡히고 회갈색이며 반투명한 줄무늬가 거의 중앙까지 있다. 가장자리는 미세하게 톱니 모양이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넓은 바른 주름살이면서 다소 내린주름살로 되기도 한다. 언저리는 고르다.

자루의 길이는 0.5~1.2cm, 굵기는 0.03~0.07cm로 원추형이며 굽어 있다. 표면은 백색-크림색이고 밋밋하다. 어릴 때는 전면에 백색 분말이 덮여 있으나 후에 꼭대기와 기부 쪽에만 분말이 남는다. 기부는 다소 거친 털 모양이다. 자루의 속이 비어 있다. 포자는 6.3~9.1×6~7.9μm로 아구형이다.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며 기름방울이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 조덕현 <한국의 균류 3>, 2018

 

 

 

 

※ 참고 자료 : https://mycena.no/alba  inpn.mnhn.fr/994063/tab/fiche  gbif.org/species/8041067  

 

 

☞ 흰애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1611 

☞ 가는애주름버섯(올린애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1273

☞ 말린새끼애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0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