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

길뚝사초 Carex bostrychostigma

모산재 2024. 5. 23. 00:35

 

임도를 따라 차 바퀴가 밀어올린 흙이 둔덕을 이룬 곳에는 길뚝사초가 줄을 지어 자라고 있다. 길뚝사초는 개화기에는 줄기가 곧추서나 점차로 줄기와 이삭 부분이 지면을 향해 길게 늘어진다. 다른 사초과 풀에 비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잎이 질긴 편이다. 그래서 임도나 등산로의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해낸다. 종소명 bostrychostigma은 암술머리(stigma)가 나선형(bostryx)으로 배열되는 모양을 나타낸 이름이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지역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길뚝사초 Carex bostrychostigma | Curled-stigma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부드럽다. 줄기가 밑으로 처진다. 근경은 짧게 옆으로 뻗는다.잎은 편평하고 부드러우며 폭 3~4mm로서 연한 녹색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황갈색이며 섬유질이고 잎이 달리며 길이 2cm 정도이다. 꽃대는 모여나기하며 밑부분이 흑갈색 섬유로 덮이고 높이 10~40cm로서 밋밋하며 밑으로 처진다.

4~5월에 개화하고 작은이삭은 5~10개이며 웅소수(雄小穗)는 끝에 달리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검은 빛이 도는 황갈색이다. 화소수는 옆에 달리며 꽃이 약간 성글게 달리고 길이 2~4cm, 지름 2mm로서 대가 있으며 위에서는 접근하고 밑에서는 서로 떨어진다. 자화영(雌花穎)은 피침상 달걀모양으로서 예두이며 1맥이 있고 웅화영은 둔두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과포는 포영보다 길며 세모진 피침형이고 길이 6~7mm로서 얇은 막질이며 연한 녹색이고 양쪽 이외에는 잔맥이 있으며 부리는 길고 끝은 백색 막질로서 2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밀칙하며 3개의 능각이 있는 원주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3~4mm로서 끝에 짧은 부리가 있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참고 : Carex bostrychostigma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 갈뚝사초 => https://kheenn.tistory.com/15857069  https://kheenn.tistory.com/15856987  

 

 

'벼과 사초과 골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대산새밥 Luzula odaesanensis  (0) 2024.06.14
길골풀 Juncus tenuis  (0) 2024.06.05
골사초 Carex aphanolepis  (0) 2024.05.15
청사초 Carex breviculmis  (0) 2024.04.19
뚝새풀 Alopecurus aequalis  (0) 2024.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