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균류

보리볏짚버섯 Cyclocybe erebia(Agrocybe erebia)

모산재 2022. 10. 20. 22:56

 

갓 표면은 회갈색~갈색으로 둥근 산 모양을 이루고 내린주름살이며, 자루 표면은 섬유상이고 아래로 갈수록 갈색이 짙어지고 윗부분에 막질의 턱받이가 있다.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 볏짚버섯속 버섯으로 식용 가능하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노지, 정원 등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14년 DNA 연구 결과 볏짚버섯속(Agrocybe)과의 연관성이 밀접하지 않은 것이 밝혀져 원볏짚버섯속(Cyclocybe)으로 바뀌었다.

 

 

 

 

2022. 10. 08.  서울 수서

 

 

 

 

오래되면 갓 가장자리가 치켜 올라간다.

 

 

 

 

 

 

● 보리볏짚버섯 Agrocybe erebia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볏짚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7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하게 펴지며 중앙이 돌출한다. 오래되면 균모의 가장자리가 치켜 올라간다. 표면은 습할 때 약간 끈적기가 있고 가장자리에 줄무늬가 나타난다. 어릴 때는 암갈색-암회갈색이지만 후에 회갈색-갈색이 된다. 건조하면 줄무늬가 사라지고 연한 계피색-갈색이 된다. 다소 색깔 차이가 심하다. 주름살은 바른 주름살이면서 내린 주름살이다. 처음에는 담갈색 또는 회색이지만 후에 녹슨 갈색이 된다. 폭이 넓고 약간 촘촘하거나 성기다.

자루의 길이는 3~6cm, 굵기는 0.4~1cm 정도로 위아래가 같은 굵기이며 자루의 위쪽에 턱받이가 있다. 턱받이의 위쪽은 밋밋하고 거의 백색이다가 연한 갈색이다. 기부 쪽은 암갈색으로 진해진다.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지만 후에 빈다. 포자는 10.9~15.7×5.5~7.2μm로 편도형-타원형이다.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며 벽이 두껍다. 밝은 갈색으로 발아공은 없다. 포자문은 황갈색이다. 
<한국의 균류 3, 조덕현>

 

 

 

 

 

☞ 보리볏짚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