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무

겨울에 피는 꽃,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모산재 2017. 1. 16. 21:54

 

홍도, 추자도 겨울 여행길... 목포역에서 여객선터미널로 걸어가다가 어느 관공서 뜰에서 꽃을 피우고 있는 비파나무를 만난다. 한겨울 푸른 잎사귀를 단 가지 끝에서 피는 하얀 꽃은 작고 소박하지만 바람결에 실려오는 향기가 아름답다.

 

비파나무는 장미과의 늘푸른 나무로 중국 후베이성과 쓰촨성 등에서 자라던 것이 일본으로 도입된 뒤 많은 원예품종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타원형의 긴 잎이 비파라는 악기와 닮은 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표기는 '비파(枇杷)'로 동음이의어일 뿐이다.

 

늦가을에서 한겨울(10~1월)까지 꽃을 피우고 여름에 접어드는 6월에 살구 모양으로 노랗게 익은 열매가 달린다. 상큼한 신 맛을 내는 비파 열매는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 비파나무(枇杷) Eriobotrya japonica | Loquat   ↘  장미목 장미과 비파나무속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가 10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굵으며 연한 갈색 밀모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상 긴 달걀 모양이며 첨두 예저이고 길이 15-25cm, 폭 3-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연갈색 밀모로 덮여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엽병은 길이 0-10mm이다.

꽃은 백색으로 10~11월에 피며 지름 1cm이고 원뿔모양꽃차례는 가지끝에 정생하며 연한 갈색털로 덮이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 5개이다. 향기가 있다.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지름 3-4cm로서 가지끝마다 몇 개씩 모여 달리며 이듬해 6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먹을 수 있고, 종자는 1-5개이며 흑갈색이고 심으면 바로 발아한다.
<국립수목원 식물도감>

 

 

 

 

 

 

 

비파 열매

 

 

비파 열매는 모양과 색깔이 살구나 매실과 아주 닮았다. 운남의 웬양에서 처음 먹어본 비파 열매는 달콤하면서도 신맛과 떫은맛이 살짝 느껴지는데, 살구맛에 비해서는 좀 오묘한 맛인 듯하다. 익숙하지 못한 이들에게는 그저 그런 애매한 맛일 수도 있겠지만 맛있는 열매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좋은 약재로도 쓰인다.

 

 

출처 : 구글 검색

 

 

 

 

비파 열매가 얼마나 맛 있는지 알려 주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한다.

 

 

조조가 비파나무 열매를 좋아해서 아무도 못 따 먹게 하였습니다.

조조는 몰래 비파 열매를 세어보곤 하였습니다.

 

어느 날 두 개가 없어졌습니다.

 

열매를 따 먹었다는 사람은 없습니다.

조조, 그냥 있을 리 있나요?

 

"저 나무를 베어버려라. 이젠 쓸모가 없구나."

 

그 때 한 병사가 말했답니다.

 

"저렇게 맛있는 열매나무를 왜 자르라 하십니까?"

 

그 병사 무심결에 목이 날아갈 자백을 하고 만 것입니다.

 

 

 

 

 

비파나무는 가을의 꽃과 겨울의 새싹과 여름의 열매를 모아서 술을 담근다고 한다.

 

비파주...

 

겨울의 새싹은 텁텁하면서 부드러운 맛을 내고

가을의 누런 꽃은 투박한 향기,

여름의 노란 열매는 새콤달콤한 맛...

 

이 세 가지 향과 맛이 어울려 아름다운 술맛을 낸다고 한다.

 

 

 

 

 

※ 비파의 효능 

 

중국에서는 대약왕수(大藥王樹)라 불리기도 했으며 "비파나무 한 그루 있으면 집안에 의사가 두 명이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예로부터 건강에 도움을 주는 나무로 알려져 왔다. 항염 항산화 작용이 뛰어나 면역력을 증강하고 특히 기관지와 폐 기능을 개선하는 데 효능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살구나 매실처럼 씨앗과 잎에는 청산배당체의 일종인 아미그달린이 들어 있어 시안화수소(청산가리)라는 유독성 물질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열매>

• 폐를 윤택하게 하여 갈증을 멎게 하고 기를 내리는 효능이 있다.
• 오장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 기를 내리고 구역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 청량, 생진(生津, 몸의 모자라는 진액을 만들어냄), 지갈(止渴), 윤폐 효능이 있다.
• 위(胃)에 열이 있어 입과 목이 마르면서 물이 많이 당기는 증상[위열구갈(胃熱口渴)]을 치료한다.
• 폐결핵으로 인한 기침에 쓰고 토혈, 코피를 그치게 한다.

 

<잎>

• 청폐(淸肺), 화위(和胃), 강기(降氣), 화담(化痰)의 효능이 있다. 폐열담해(肺熱痰咳), 해혈비출혈(咳血鼻出血), 위열(胃熱)에 의한 구토를 치료한다.

 

<뿌리>
• 허로(虛勞)로 인한 오랜 해수(咳嗽(해수), 관절 동통(疼痛), 토혈, 유즙(乳汁) 부족 등을 치료한다.

 

<꽃>

• 상풍감모(傷風感冒), 가래, 혈담(血痰)을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