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aeolus schweinitzii5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아름드리로 자란 리기다소나무 옆 땅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갓 표면 고리무늬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3. 10. 28.  서울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olypore, dyer's mazegill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해.. 2024. 12. 14.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작년 가을에 났던 리기다소나무 옆 땅에서 올해도 해면버섯 두 개체가 쌍둥이처럼 발생하였다. 갓 표면 고리무늬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10. 20 - 27.  서울       노균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olypore, dyer's .. 2024. 11. 10.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성장 과정 등산로 옆 낙엽송(일본잎갈나무) 그루터기에 털이 보송보송한 작고 어린 해면버섯이 자라났다. 예쁜 꽃이 피어난 듯하다. 5일 뒤에 다시 살폈더니 보송보송한 털은 드러누운 채 제법 넓은 갓이 만들어져 성체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변에 보이는 시커먼 노균과 비교하면 아직은 예쁜 모습이다. 커다란 꽃이 핀 느낌이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09. 26.  서울    2024. 10. 01.  5일 후, 위 버섯이 성장한 모습    2024. 10. 01.  다시 7일 후, 변화한 모습   2024. 09. .. 2024. 10. 24.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백운산 데크 계단길에는 거미줄이 쳐져 있다. 일찌기 없었던 무더위에 등산 발길조차 끊어진 모양이다. 능선으로 올라선 지점에서 해면버섯을 만난다. 아름드리 소나무 줄기 허리 높이에 커다란 갓이 선반처럼 달려 있는데, 그 반대쪽 땅에는 겹겹의 해면버섯이 또하나 발생하였다. 나무에 발생한 것은 처음으로 만난다.  해면버섯 갓 표면은 고리무늬가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 2024. 8. 28.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유균과 노균 일부 남아 있는 소나무 그루터기 곁에 뽀송뽀송한 해면버섯 유균이 꽃처럼 예쁘게 발생하고 있다.  해면버섯 갓 표면은 고리무늬가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07. 31.  경기 구리     2024. 07. 10.  서울 해면버섯 노균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 2024. 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