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enosperma globosa4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이삭이 돌려나기로 달리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밑부분에서는 돌려나지만 윗부분에서는 1∼2개씩 달린다. 화서가 오래도록 남아 있으며, 아래쪽 잎이 겨울에 말라죽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전체적인 형태가 나도겨이삭과 비슷하지만 꽃차례의 가지 아랫부분부터 작은이삭이 달리고 열매가 더 둥글다. 우리나라 강원도, 충청남도 이남에 나며,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4. 08. 10. 부안 내소사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기장풀속 여러해살이풀 많은 줄기가 모여나고, 높이 80~120cm이다. 잎몸은 길이 30~50cm이고, 너비 2~3cm로 아랫부분에서 뒤틀려 뒤집힌다. 잎혀는 막질이고, 5~10mm로 끝이 둔하다.. 2024. 8. 29.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산기장은 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기장속(Phaenosperma)의 유일한 종이다. 꽃차례의 가지가 돌려나고 동글동글한 영과가 꽃차례 가지에 늘어서듯이 달린다. 전남 및 경남 이남, 제주도 해안 가까운 지역에 자생하며, 중국 일본 히말라야 산지에 분포한다. 2014. 제주도 납읍 금산공원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Globose phaenosperma ↘ 사초목 벼과 산기장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납작하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30∼50cm, 나비 약 15mm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약 60cm, 나비 2∼3cm이며 2줄로 늘어선다. 잎혀는 바소꼴이며 막질(반투명질).. 2014. 7. 13.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산기장은 벼과 산기장속의 유일한 종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층층으로 돌려나기하는 꽃차례에 작고 둥근 영과가 늘어서 달린 모습으로 눈에 띈다. 전라남도·경상남도·제주도 등지의 바다 가까운 숲 속에 자생한다. 2014. 07. 제주도 용연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Globose phaenosperma ↘ 사초목 벼과 산기장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납작하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30∼50cm, 나비 약 15mm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약 60cm, 나비 2∼3cm이며 2줄로 늘어선다. 잎혀는 바소꼴이며 막질(반투명질)이고 길이 5∼10mm이다. 꽃은 5∼6월에 원추꽃차례에.. 2014. 7. 10.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산기장은 이삭이 돌려나기로 달리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밑부분에서는 돌려나지만 윗부분에서는 1∼2개씩 달린다. 전체적인 형태가 나도겨이삭과 비슷하지만 꽃차례의 가지 아랫부분부터 작은이삭이 달리는 것이 다르다. '황새피', '산기장풀'라고도 한다. 강원도 이남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 등 바다 가까운 산지에 분포한다. 2010. 06. 13. 자월도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벼과 기장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납작하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30∼50cm, 나비 약 15mm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약 60cm, 나비 2∼3cm이며 2줄로 늘어선다. 잎혀는 바소꼴이며 막질이고 길.. 2010. 8.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