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anocnide japonica4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4월 초순 선운산에서 꽃이 피는 나도물통이를 만났는데, 내장산-백양산 종주 산행에서 꽃이 지고 있는 나도물통이를 만난다.   나도물통이는 높이 10∼20cm로 자라며 어긋나게 달리는 잎자루는 길고 꽃은 단성화로 암수한그루이고 4월에 핀다. 수꽃은 연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암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제주도와 전남 백양산, 전북 선운산 등 산지 계곡부에 자라는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6. 05. 01. 전남 백양산             ●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  쐐기풀목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 여러해살이풀높이가 10~20cm이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고 줄기는 모여서 나며 연하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 2016. 5. 8.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높이는 10∼20cm로 자라며 어긋나게 달리는 잎자루는 길고 꽃은 단성화로 암수한그루이고 4월에 핀다. 수꽃은 연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암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물통이 종류와는 달리 꽃의 모양이 육안으로도 관찰되는 정도의 크기와 모습을 가졌다. 꽃잎은 없지만 수꽃은 긴 꽃대 끝에 다섯 개의 수술이 태엽처럼 말려 있다 별 모양으로 펼쳐지면서 꽃가루를 멀리 뿌리고, 암꽃은 잎겨드랑이 짧은 꽃대에 달린다. 튕긴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다른 꽃의 암술에 날아가서 가루받이가 된다. 제주도와 전남 백양산, 전북 선운산 등 산지 계곡부에 자라는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6. 04. 09.  전북 고창                         .. 2016. 4. 18.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물통이와 닮았다고 해서 나도물통이라 부르며 물통이속(Pilea)과 다른 나도물통이속(Nanocnide) 2종 중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제주도와 전남북의 그늘진 산골짜기에 자생한다. 물통이 종류와는 달리 꽃의 모양이 육안으로도 관찰되는 정도의 크기와 모습을 가졌다. 꽃잎은 없지만 수꽃은 긴 꽃대 끝에 다섯 개의 수술이 태엽처럼 말려 있다 별 모양으로 펼쳐지면서 꽃가루를 멀리 뿌리고, 암꽃은 잎겨드랑이 짧은 꽃대에 달린다. 튕긴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다른 꽃의 암술에 날아가서 가루받이가 된다. 수꽃의 꽃싸개는 5갈래이고 암꽃의 꽃싸개는 4갈래라고 하는데, 암꽃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듯 관찰할 수 없었다.    2016. 04. 09.  선운산             수꽃은 수술이 5개로, 말려 있던 수술이 펼.. 2016. 4. 14.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는 나도물통이 1종이 자생한다. 우산물통이속 식물에 비해 잎자루가 길고 잎 양쪽이 대칭을 이루는 점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잔쐐기풀', '화점초', '산귀래', '애기물통이'라고도 한다.    2007. 09. 07.  전남 영광     ●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 Japanese Nanocnide   /  쐐기풀목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0-20cm이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고 줄기는 모여서 나며 연하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선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와 나비가 1-3cm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거의 수평하며 양면에 .. 2009.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