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ispermum dauricum4 새모래덩굴 열매 Menispermum dauricum 새모래덩굴은 새모래덩굴과(또는 방기과) 새모래덩굴속(Menispermum)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암수딴그루로 잎겨드랑이에서 꽃차례가 달리는데, 암그루에 흔치 않게 달리는 열매는 가을에 검게 익는다. 2015. 07. 02. 남한산성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Asiatic Moonseed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3∼10mm이고 잎몸의 뒷면에 달린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 2015. 7. 21. 새모래덩굴 수꽃 Menispermum dauricum 가막덩굴이라고도 하며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방기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달린다. 잎몸은 원형으로 가장자리에 3~7개의 얕은 결각이 있는 점에서 밋밋한 함박이(Stephania japonica)와 구별된다. 함박이는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상록성 식물이다. 2008. 05. 24. 남한산성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Asiatic Moonseed /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털이 없고 길이 1-3cm로서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녹색의 원주형이다. 뿌리를 만주방기(滿洲防己)라 한다. 잎은 호생하며 첨두 심장저이고 3-7각이거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2008. 6. 16. 새모래덩굴 수꽃 새모래덩굴은 암수딴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서 핀다. 덩굴에서 피는 꽃이 작아 육안으로 구별하기 쉽지 않아 담다 보니 수꽃만 찍고 암꽃은 담지 못했다. 2008. 05. 06. 천마산 입구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3∼10mm이고 잎몸의 뒷면에 달린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노란 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나온 꽃대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꽃받침조.. 2008. 5. 28.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암꽃, 수꽃, 열매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유일한 자생종인 새모래덩굴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연한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나온 꽃대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2007. 04. 14. 경남 합천 2007. 06. 09 남한산성 꽃받침조각이 4∼6개이고 꽃잎이 6∼10개이며 수술이 12∼20개이다. 암꽃은 암술이 1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이며 3개의 심피로 구성된다.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새모래덩굴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 2007. 4.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