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ctifluus luteolus2

갈색끈적젖버섯(갈색끈적털젖버섯) Lactifluus luteolus 유액이 풍부해 건드리기만 해도 흰 젖이 분출하고 시간이 지나며 갈변한다. 젖버섯속에서 털젖버섯속으로 변경되었다. 비교적 흔한 버섯인데 인터넷 백과사전이나 도감에서 이 버섯의 기재문을 찾기는 어렵다. 다만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기재문 없이 '갈색끈적젖버섯'이라는 국명과 Lactarius luteolus라는 학명을 기록하고 있고,  조덕현 '한국의 균류 5'에서 '치마털젖버섯'이라는 다른 국명으로 기록된 기재문이 검색될 뿐이다.  여름~가을 참나무 숲이나 참나무와 소나무의 혼효림 땅에 난다. 한국, 미국동남부, 남부 유럽에 분포한다.    2024. 08. 25-28.  서울     2024. 09. 16.  남한산성     ● 갈색끈적젖버섯 Lactifluus luteolu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털.. 2024. 9. 11.
갈색끈적젖버섯 Lactifluus luteolus 얼핏 붉은 색 계통의 무당버섯인가 싶은데, 갓 아랫면 흰 주름살에는 진한 갈색 무늬로 오염된 흔적이 눈에 띈다. 자연적으로 분출한 유액이 굳어진 흔적이다. 유액이 풍부해 건드리기만 해도 흰 젖이 분출하고 시간이 지나며 갈변한다. 젖버섯속에서 털젖버섯속으로 변경되었다.  비교적 흔한 버섯인데 인터넷 백과사전이나 도감에서 이 버섯의 기재문을 찾기는 어렵다. 다만 조덕현 '한국의 균류 5'에서 '치마털젖버섯'이라는 다른 국명으로 기록된 기재문이 검색될 뿐이다.   2023. 07. 25.  서울    2023. 07. 29.  서울    2023. 09. 01.  서울      ● 갈색끈적젖버섯 Lactifluus luteolu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털젖버섯속 균모는 지름 5~8(10)cm, 둥근 산.. 2023.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