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anoboletus pulverulentus5 밤꽃그물버섯(밤꽃청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갓이나 관공의 색깔이 우중충해서 처음에 육안으로는 무슨 버섯인지 알아보지 못했는데, 모니터로 사진을 자세히 보면서 밤꽃그물버섯임을 알아챌 수 있었다. 게다가 밤꽃그물버섯을 종종 보았던 곳에서 만난 버섯이어서 더욱 확신이 들기도 한다. 자루 윗부분에 황색끼가 뚜렷하고 적색 반점이 밀포되어 있으며 진한 잉크색으로 변색되는 점이 밤꽃그물버섯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주변에 있는 작은 버섯 둘은 아예 갓 표면까지 잉크색으로 변한 모습이다. 변색 특징으로 영명이 'ink stain bolete'이다. 국립수목원은 '푸른잉크그물버섯, 조덕현은 '밤꽃청그물버섯'으로 각각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북한 이름은 '색갈이그물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 땅에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 2024. 10. 22. 밤꽃그물버섯(밤꽃청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갓은 올리브빛이 감도는 암갈색이고 관공은 황색이며 자루는 윗부분이 황색인데 아래쪽은 붉은색이다. 관공과 자루는 상처를 주자 바로 진한 잉크색으로 변색된다. 밤꽃그물버섯은 변색 특징으로 영명이 'ink stain bolete'이다. 국립수목원은 '푸른잉크그물버섯, 조덕현은 '밤꽃청그물버섯'으로 각각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북한 이름은 '색갈이그물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 땅에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9. 26. 서울 ● 밤꽃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 ink stain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청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4~10cm, 어릴 때는 반구형, 이후 둥근 산 모양-편평한 모양.. 2024. 10. 20. 밤꽃그물버섯(밤꽃청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갓은 올리브빛이 감도는 암갈색이고 관공은 황색이며 자루는 윗부분이 황색인데 아래쪽은 붉은색이다. 관공과 자루는 상처를 주자 바로 진한 잉크색으로 변색된다. 밤꽃그물버섯(조덕현은 바뀐 속에 따라 '밤꽃청그물버섯'으로 기록)은 변색 특징으로 'ink stain bolete'라는 영명이 붙었다. 북한 이름은 '색갈이그물버섯'이다. 조덕현은 바뀐 속명을 '청그물버섯속'으로 기록하고 있다. 여름~가을 숲속 땅에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9. 22. 경기 구리 ● 밤꽃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 ink stain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청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4~10cm, 어릴 때는 반구.. 2024. 10. 13. 평창 '국민의 숲', 밤꽃청그물버섯(밤꽃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걷기 모임으로 선자령 트레킹에 나선 날, 새벽부터 비가 내리고 대관령에 도착했을 때는 폭우가 쏟아지고 바람까지 거세다. 선자령 산행은 무리, 한달살이로 대관령에서 기다리던 기석 형의 안내로 아랫마을 꿩만둣국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국민의숲' 트레킹을 간단히 하고 다시 발왕산 '엄홍길코스' 우중 산행으로 마무리를 하였다. '국민의숲'에서 가장 먼저 만난 버섯, 비를 맞아 갓은 적갈색으로 번들거리는데 가장자리는 연한 색으로 테두리를 두른 듯하고 관공은 황색인데 상처를 주니 진한 잉크색으로 변한다. 아래쪽으로 가늘어지는 자루 또한 흑색에 가까운 잉크색으로 변한다. 자루는 약해서 쉽게 부러진다. 밤꽃그물버섯(조덕현은 바뀐 속에 따라 '밤꽃청그물버섯'으로 기록)으로 추정되는데, 변색 특징으로 영명이 ink st.. 2024. 10. 9. 밤꽃청그물버섯(밤꽃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등산로 그늘진 언덕을 따라 몇 개체의 그물버섯이 보인다. 갓은 올리브빛이 감도는 암갈색이고 관공은 황색이며 자루는 윗부분이 황색인데 아래쪽은 붉은색이다. 관공과 자루는 상처를 주자 바로 진한 잉크색으로 변색된다. 밤꽃그물버섯(조덕현은 바뀐 속에 따라 '밤꽃청그물버섯'으로 기록)으로 추정되는데, 변색 특징으로 영명이 'ink stain bolete'이다. 자루가 통통한 경우가 많은데 이 버섯은 자루가 아래족으로 점차 가늘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북한 이름은 '색갈이그물버섯'이다. 조덕현은 바뀐 속명을 '청그물버섯속'으로 기록하고 있다. 여름~가을 숲속 땅에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9. 09. 서울 ● 밤꽃그물버섯 Cyanoboletu.. 2024. 9.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