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buttercup2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털개구리미나리(R. cantoniensis)와 아주 닮은 풀이다. 꽃이 진 후 꽃턱이 신장하여 열매가 긴 원통형인 점에서 개구리미나리나 털개구리미나리를 비롯한 구형인 열매를 갖는 종과 구별된다. 왜젓가락풀(R. silerifolius)과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잎의 갈래조각이 가늘고 좁다. '젓가락풀'이라고도 한다. 개구리가 사는 습지에 서식하는 특성으로 속명은 '작은 개구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라나(rana)'에서 유래한 것이다. 햇빛이 잘 들고 습기가 많은 골짜기나 들판에서 자란다. 중국 만주,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 Chinese buttercup ↘ .. 2024. 6. 27.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꽃이 지고나면 꽃턱이 길게 자라서 열매는 길이 1cm 이상의 원통형으로 변하는데, 열매가 구형인 개구리미나리나 털개구리미나리, 왜젓가락나물 등과 구별되는 점이다. 왜젓가락나물과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잎의 갈래조각이 가늘고 좁다. DNA 염기서열을 분석 결과, 털개구리미나리는 젓가락나물(부계)과 왜젓가락풀(모계)의 잡종으로 확인되었다. 미나리아재비속의 한해살이풀로 햇빛이 잘 드는 습한 땅에서 자란다. 2015. 06. 06. 운장산 내처사동 ● 젓가락나물 Ranunculus chinensis | Chinese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두해살이풀전체에 퍼진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높이 40-60cm로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속은 비어 있다. 뿌리줄기는 짧고.. 2015. 6.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