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thriscus sylvestris4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전체적으로 사상자와 아주 비슷하나 바깥쪽 꽃잎이 큰 특징으로 쉽게 구별된다. 식물체에 전체적으로 털이 없는 점에서 잎에 퍼진 털이 많은 유럽전호, 사상자속 종들과 구별된다. 이른 봄 숲가장자리에서 싱그러운 새싹이 자라나는 미나리과의 식물로 독특한 향이 있어 '생치나물'(북한) '사생이나물(풍도)' 등의 이름으로 식용하며 뿌리는 약용한다.  우리나라 전역 숲 주변 습한 땅에서 자라며, 러시아, 일본, 중국, 동유럽 등에 분포하고 북아메리카에서는 도입하여 자란다.    2024. 06. 07.  대관령       ●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 cow parsley, wild chervil, wild beaked parsley, Queen Anne's lace, mother-die  ↘ .. 2024. 6. 13.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전호는 미나리과(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순을 '생치나물'(북한의 문화어임) 또는 '사생이나물'이라 하여 식용한다. 미나리와 당귀 향이 섞인 듯한 독특한 향이 있다.  줄기는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으며, 5개의 꽃잎 중 두 개의 꽃잎이 큰 것이 특징이다. 모여 핀 꽃은 가장자리에 핀 것이 크고 가운데에 핀 것은 작다.    2015, 05, 16,  금대봉, 대덕산      ●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  산형과 전호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m에 이른다. 줄기는 곧게 서서 여러 개의 가지를 치며 온몸이 밋밋하고 털이 없다. 잎은 두 번에 걸쳐 세 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다시 깃털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의 끝은 뾰족하고 일반적으로 잎 가장자리는 밋밋한데.. 2015. 5. 22.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풍도에서는 전호를 '사생이나물'이라 하는데, 풍도 곳곳에서 사생이나물이 자라고 있다. 봄이면 풍도의 여인들이 사생이나물을 캐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식물체에 전체적으로 털이 없는 점에서 잎에 퍼진 털이 많은 유럽전호를 비롯한 긴사상자 등 사상자속과 구별된다. 주로 숲가장자리와 같이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2009. 05. 24.  풍도     전호 열매   전호 잎집과 줄기잎   전호 잎    ● 전호 前胡 Anthriscus sylvestris ↘  목련강 산형화목 미나리과 전호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m 내외이고 굵은 뿌리에서 줄기가 나와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나온 잎과 밑부분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3개씩 2∼3회 갈라지며 다시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 2009. 6. 18.
전호(사생이나물) Anthriscus sylvestris 풍도에서는 전호를 '사생이나물이라 하는데, 풍도 곳곳에서 사생이나물이 자라고 있다. 봄이면 풍도의 여인들이 사생이나물을 캐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사생이나물, 전호는 주로 숲가장자리와 같이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란다.     2009. 05. 23.  풍도     꽃은 가장자리에 핀 것이 크고 가운데에 핀 것은 작다.               ● 전호 Anthriscus sylvestris | Woodland Beakchervil  /  산형화목 산형과 전호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가 1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녹색으로 듬성듬성하게 가지를 친다. 뿌리는 굵은데 전호(前胡)라 한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다. 세모꼴의 잎은  2-3회 3잎나기이다. 갈래조각은 달걀꼴로 다시 깃모양으로.. 2009.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