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utellinia erinaceus4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야산 입구에 쌓여 있는 재목 더미에서 발생한,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속의 극소형 버섯이다. 침접시버섯은 자낭반 지름이 3-10mm이고 훙적색인 접시버섯(S. scutellata)에 비해 2-3mm로 소형이고 등황색인 점으로 구별된다. 오렌지색의 자낭반 가장자리에 속눈썹 같은 털이 나 있는데, 영어 이름은 'orange eyelash cup'(오렌지 속눈썹 컵)이다.  썩어가는 재목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북유럽에 분포한다. 너무 작아서 식용할 가치가 없다.    2024. 08. 16.  서울    2024. 08. 18-19.  서울       ●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 orange eyelash cup  ↘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 2024. 9. 1.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자낭반 지름 2mm 정도의 극소형 버섯이다. 야산 입구에 쌓여 있는 재목 더미에서 발생한,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속의 극소형 버섯이다. 자낭반 지름이 3-10mm이고 훙적색인 접시버섯(S. scutellata)에 비해, 침접시버섯은 2-3mm로 소형이고 등황색인 점으로 구별된다. 오렌지색의 자낭반 가장자리에 속눈썹 같은 털이 나 있는데, 영어 이름은 'Orange eyelash cup'(오렌지 속눈썹 컵)이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북유럽에 분포한다. 너무 작아서 식용할 가치가 없다.    2024. 05. 31.  서울       2024. 08. 30.  서울     ●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 Orange eyelash cup  ↘  주발버섯목 털접시버.. 2024. 6. 2.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야산 입구에 쌓여 있는 재목 더미에서 발생한,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속의 극소형 버섯이다. 침접시버섯은 자낭반 지름이 3-10mm이고 훙적색인 접시버섯(S. scutellata)에 비해 2-3mm로 소형이고 등황색인 점으로 구별된다. 오렌지색의 자낭반 가장자리에 속눈썹 같은 털이 나 있는데, 영어 이름은 'Orange eyelash cup'(오렌지 속눈썹 컵)이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북유럽에 분포한다. 너무 작아서 식용할 가치가 없다.    2023. 10. 04.  서울      ●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 Orange eyelash cup  ↘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속자실체의 지름은 2~3mm로 어릴 때 다소 컵 모양이나 접시 모양으로 펴진.. 2024. 1. 27.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짧은대꽃잎버섯 Ascocoryne cylichnium 등산로 옆 재목더미의 썩어가는 재목 단면에 황색의 침접시버섯과 자줏빛의 짧은대꽃잎버섯이 함께 발생하였다. 침접시버섯은 자낭반 지름이 3-10mm이고 훙적색인 접시버섯에 비해 2-3mm로 소형이고 등황색인 점으로 구별된다. 주발형으로 자라던 짧은대꽃잎버섯은 가장자리가 오글거리는 꽃잎형으로 바뀌고 크기도 훨씬 커졌다. 2023. 09. 24. 서울 ●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2~3mm로 어릴 때 다소 컵 모양이나 접시 모양으로 펴진다. 표면의 자실층은 어릴 때 연한 오렌지-황색이나 성숙하면 차차 칙칙한 오렌지-황색 또는 오렌지-적색으로 된다. 표면은 밋밋하고 광택이 나거나 칙칙하다. 바깥층과 가장자리는 칙칙한 갈색의 오렌지색이다.. 2023.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