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uteus petasatus2

흰난버섯(갈색비늘난버섯) Pluteus petasatus 유난히 빨간 좀노란밤그물버섯이 홀로 발생한 곳에서 흰난버섯을 만난다. 평활한 담갈색 갓 표면에 미세한 방사상 섬유가 있고 중앙부에 갈색 인편이 있는 소박한 모습의 난버섯이다. 주름살은 떨어진형으로 빽빽하고 아주 연한 홍색을 띤다. '갈색비늘난버섯'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자료가 많지만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흰난버섯으로기록하고 있다.  '털보난버섯'이라고도 한다. 봄~가을에 활엽수 썩은 나무에 난다. 우리나라와 유럽, 북미 호주 동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나 눅눅한 질감으로 별로 찾지 않는 버섯이다.    2024. 09. 16.  남한산성      ● 갈색비늘난버섯 Pluteus petasatus | scaly-shield  ↘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난버섯속균모의 지름은 5~15cm, 원추형-종 모양에.. 2024. 10. 8.
흰난버섯(갈색비늘난버섯) Pluteus petasatus 비탈길 썩어가는 재목에서 한 송이만 홀로 발생하였다. 갓 표면은 비교적 평활한데 담갈색 바탕에 미세한 방사상 섬유가 있고 중앙부에 갈색 인편이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형으로 빽빽하고 아주 연한 홍색을 띤다. '털보난버섯'이라고도 한다. 봄~가을에 활엽수 썩은 나무에 난다. 우리나라와 유럽, 북미 호주 동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나 눅눅한 질감으로 별로 찾지 않는 버섯이다.    2023. 10. 09.  남한산성      ● 갈색비늘난버섯 Pluteus petasatus | scaly-shield  ↘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난버섯속균모의 지름은 5~15cm, 원추형-종 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형으로 되지만 중앙이 약간 돌출한다. 표면은 흰색-크림색 바탕에 미세한 갈색의 인편이 방사상으.. 2024.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