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aeolepiota3

낭피버섯속, 턱받이금버섯 Cystoderma aureum(Phaeolepiota aurea) 갈황색미치광이버섯과 매우 닮은 버섯인데, 최근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의해 낭피버섯속으로 이속되었다. 갓과 자루 표면은 황토색~황금색이고 같은 색의 가루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끝붙은주름살은 누런 흰색에서 누런 갈색으로 변한다. 북한 이름은 '노란녹쓴우산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 정원, 대나무밭 등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일본, 유럽, 러시아, 코카서스,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하기도 하나 독버섯이다.    2024. 11. 10.  서울       ● 턱받이금버섯 Cystoderma aureum | Alaskan gold, golden bootleg, golden cap  ↘  주름버섯목 Squamanitaceae과 낭피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5~15cm이고 처음에 원뿔 모양 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나.. 2024. 11. 21.
턱받이금버섯 Phaeolepiota aurea, 갈황색미치광이버섯 닮은 이유 무리를 지어 늘어선 금색의 아름다운 버섯! 갓이 벌어진 이 버섯의 성체를 보면 색깔과 모양과 크기가 갈황색미치광이버섯과 아주 많이 닮았다. 그래서 어떤 기록은 미치광이버섯속으로 분류해 놓기도 하고 또 다른 기록은 갈황색미치광이버섯의 기본종으로 기록하고 있기도 하다.  식용 여부에 대해서도 "섭취 시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독버섯이다."(두산백과), "식용하는데 맛이 굉장히 좋다.(한국산 버섯 DB) 등과 같이 엇갈리게 기록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뒷맛이 거북한 느낌이었는데 또 다른 버섯 애호가는 평균 이상의 맛이라고 평가한다. 북한명은 '노란녹쓴우산버섯'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숲 속, 길가, 정원, 대나무밭 등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22. 10. 28. 서울       ● 턱받이금버섯.. 2022. 10. 31.
침투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apineus = 밤빛벗은갓버섯 Gymnopilus penetrans 미치광이버섯속의 독버섯이다. 자료에 따라 주름버섯과, 끈적버섯과, 포도버섯과로 다르게 분류하고 있고 학명도 각각 다르다. Phaeolepiota penetrans 주름버섯목 > 주름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Gymnopilus sapineus 주름버섯목 > 포도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국가 생물다양성 공유체계 Gymnopilus penetrans 끈적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한국산 버섯DB 버섯사전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 썩은 곳과 땅에 무리로 나거나 묶음 모양으로 난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균모는 지름 2-4.5㎝로 종형에서 볼록한 형이다가 거의 편평하게 되며 가장자리는 물결 형이다. 밝은 적오랜지색 또는 황금색, 황색, 황갈색이다가 오래되면 퇴.. 2018.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