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emisia3

큰비쑥 Artemisia fukudo 사천 갯바위에서 만난 '비쑥', 아런 이름으로 알던 쑥속 종들이 큰비쑥이거나 애기비쑥이라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는 듯하다. 실제로 비쑥의 학명으로 이미지들을 검색해 보면 우리나라 바닷가에서 만나본 적이 없는 이미지다. 비쑥은 자생 여부가 분명하지 않은 듯하다.  큰비쑥은 남동해안, 애기비쑥은 함경도 해안에 분포하며, 한반도의 서해에서는 애기비쑥이 큰비쑥과 혼생하며 중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이 관찰된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사천 바닷가에서 만난 이 종은 큰비쑥일 수밖에 없는데 두상화의 크기에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2024. 11. 06.  사천          ● 큰비쑥 Artemisia fukudo | Asian coastal wormwood  ↘  목련강 국화아강 국화목 국화과 쑥속 두해살.. 2024. 11. 21.
더위지기(인진쑥) 꽃, 줄기와 겨울눈 Artemisia gmelinii 더위지기는 보통 인진쑥으로 불리는 국화과 쑥속의 관목이다. 쑥속의 식물은 대개 풀로 분류되지만, 더위지기는 겨울에도 줄기가 마르지 않고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줄기에서 싹을 내므로 나무로 분류된다. 하지만 잎이나 어린 줄기는 쑥속의 고유한 성질이 있어 초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선 월동하는 관목상의 줄기와 겨울눈(동아) ● 더위지기(인진쑥) Artemisia gmelinii | Gmelin's wormwood ↘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의 관목 높이가 1m에 달하고 모여나기하며 곧게 서고 기부가 목질화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이 있으며 암자색을 띠고 어린 부분에 거미줄털이 있다. 근생엽은 어긋나기하고 달걀모양이며 2회우상(二回羽狀)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톱니가 없거나 또.. 2016. 10. 14.
개똥쑥 Artemisia annua '개땅쑥', '잔잎쑥'이고도 한다. 개똥쑥은 대개의 쑥이 여러해살이풀인 것과는 달리 한해살이풀이다. 높이 약 1m 정도로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은 2∼3회 가는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경기도와 제주도, 북한 지역에 분포한다. 빈터나 강가에서 무더기로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방에서는 발열감기·학질·소아경기·소화불량·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 2007. 09. 09. 홍릉수목원   2009. 08. 29.    ● 개똥쑥 Artemisia annua  /  국화목 국화과 쑥속 한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3회 가늘게 깃꼴로 깊게.. 2009.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