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emone koraiensis3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하나의 꽃대에 한 송이 꽃이 달리므로 홀아비바람꽃이라고 한다. 미나리아재비과 아네모네속의 한국 특산식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한다. 2013. 05. 17. 대관령 겹꽃 형태의 특이한 홀아비바람꽃 홀아비바람꽃과 숲개별꽃 간혹 꽃대가 두개씩 올라오는 경우도 있다. ●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 굵은 뿌리는 끝에 몇개의 비늘 같은 조각이 있다. 뿌리잎은 1∼2개이고 높이 3∼7cm로 잎몸은 손바닥 모양으로 5개로 갈라지며, 나비 4cm 내외이다. 꽃은 4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가 위를 향하여 핀다. 총포는 잎 같고 3개로 갈라지며 꽃줄기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도란형이며 끝이 둥글지만 가운데가 뾰족하다. 씨방은 털이.. 2014. 5. 19.
'한국의 아네모네',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긴 꽃대 끝에 한 송이 흰 꽃만 외롭게 달리는 꽃, 그래서 홀아비바람꽃으로 불린다. 하얀 꽃이 바람에 하늘거리는 모습이 연꽃을 닮아 '은연화(銀蓮花)'라 부르기도 한다.  홀아비바람꽃의 학명은 Anemone koraiensis. '한국의 아네모네'이다. 이름처럼 한국 특산종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깊은 숲 습한 땅에서 자란다. 멸종위기종에 속한다.    2012. 05. 19.  소백산           ●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잎은 1∼2개이고 높이 3∼7cm로 잎몸은 손바닥 모양으로 5개로 갈라지며, 나비 4cm 내외이다. 꽃은 4월에 꽃줄기 끝에 위를 향하여 한 송이가 핀다. 꽃잎이 없어 꽃받침이 마치 꽃잎처럼 보인다. 총포는 잎.. 2012. 6. 8.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아네모네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꽃대에 한 송이의 꽃만 피므로 홀아비바람꽃이라 한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이 흰 꽃잎처럼 보인다. 경기도와 강원도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그래서 학명도 Anemone koraiensis.    2007. 05. 05.  가리왕산    꽃이 둘 달린 홀아비바람꽃      ●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굵고 육질이다. 뿌리는 굵고 지름 2mm 정도이며 선단에 몇 개의 비늘조각이 있다. 근생엽은 1-2개이고 높이 3-7cm이며 엽병은 털이 없고 엽신은 장상으로 5개로 갈라지며 길이 2cm, 폭 4c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털이 없다. 꽃은 지.. 2007.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