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턱수염버섯과2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영릉 산책로를 걷다 붉은꾀꼬리버섯을 처음으로 만난다. 꾀꼬리버섯과 비슷한 모양으로 갓 윗면을 비롯하여 주름살과 자루는 붉은빛이 도는 주황색인 점에서 구별된다. 턱수염버섯과에서 꾀꼬리버섯과로 이동되었다. 여름~가을 혼효림에서 무리지어 난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좋은 식용 버섯이다.    2024. 07. 25.  여주 영릉        ●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 red chanterelle  ↘  주름버섯강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갓 지름은 2.0-4.0cm로, 편평형에서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색에서 등담홍색을 띠며, 평활하고,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잡혀 있다. 자실층은 내린형이며, 담홍색의 맥상 주름살이 나타난다. 대의.. 2024. 8. 12.
턱수염버섯 Hydnum repandum 갓은 둥근산 모양이나 중앙이 오목하고 일부가 뒤집혀 부정형으로 평탄하지 않다. 갓 표면은 황갈색~등황색이고 갓 둘레는 불규칙한 물결형이며 살은 희고 갓 아랫면은 바늘 모양의 돌기가 있다. 흰색인 것을 '흰꾀꼬리버섯'(var. albidum)이라고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혼합림 내 땅 위에 무리지어 나며, 균륜을 형성한다. 맛이 고급스럽고 아삭한 식감을 가진 좋은 식용 버섯으로 평가된다. 꾀꼬리 버섯과 조리방식은 같지만 쓴맛이 있어 더 오래 익혀야 한다. 이탈리아에서 꾀꼬리버섯과 함께 판매되며, 프랑스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식용 버섯의 하나다. 유럽에서는 'Pied-de-mouton'(양의 발)이라는 프랑스어 이름으로 판매된다. 2023. 09. 28. 구리 ● .. 2024.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