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꼬투리버섯과13 나이테가 있는,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자실체 속이 꽉 찬 점으로 방콩버섯(Daldinia verunicosa)이 아닌 콩버섯이다. 애기콩버섯(daldinia childiae)은 자루 형태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자실체는 지름은 1~3cm 반구형~콩모양으로 표면은 울퉁불퉁하며 갈색~적갈색에서 흑색이 된다.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 목탄 같은 검은색의 동심원 무늬가 나타나는데, 나이테로 1년에 1개씩 만들어진다. 이 버섯은 나이테가 무려 10개나 되니 10년 묵은 콩버섯이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 불가능하다. 검게 목탄화한 것은 불을 붙이는 부싯깃으로 유용하다고 한다. 2023. 11. 17. 서울 ●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 King .. 2024. 12. 25. 민팥버섯속 Biscogniauxia sp. 검은점버섯 주변에서 발견된 버섯이다. 검은점버섯의 노균인가 싶기도 하였으나 표면에 돌기가 뚜렷하지 않고 밋밋한 점이 다르다. 주홍꼬리버섯을 불완전세대로 가지는 넓은요버섯(Diatrype stigma)과도 비슷하지만 역시 미세한 돌기가 보이지 않고 질감이 다른 듯하다. 민팥버섯(Biscogniauxia nummularia)이나 회색민팥버섯(Biscogniauxia mediterranea), '숫돌민팥버섯'(Biscogniauxia granmoi) 등 민팥버섯속(Biscogniauxia) 버섯으로 보인다. 이 종들은 이미지가 아주 비슷비슷하여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팔버섯의 포자는 구형에 가까운 타원형이고 회색민팥버섯 포자는 양끝이 다소 뾰족한 호박씨 모양인데, 포자 확인까지는 능력이 미치지 .. 2024. 12. 20. 다형빵팥버섯 Jackrogersella multiformis(Annulohypoxylon multiforme) 콩꼬투리버섯과 빵팥버섯속의 버섯이다. 검은빵팥버섯(Annulohypoxylon truncatum)과 비슷하지만 돌출된 자낭각이 작고 둔하다. 자작나무 등 쓰러진 활엽수 수간 껍질 표면 위에서 발생한다. 2023. 11. 09. 서울 2023. 11. 15. 서울 ● 다형빵팥버섯 Annulohypoxylon multiforme | birch woodwart ↘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빵팥버섯속 자실체(자좌)는 방석 모양, 둥근 모양 또는 가늘고 긴 모양 등이다. 처음에는 녹슨 붉은색이다가 후에는 암갈색-흑색이 된다. 표면은 지름이 1(2)~3cm 정도에 이르며 서로 융합되기도 하고 껍질이 없는 경우에는 더 넓게 펴지기도 한다. 표면은 다소 울퉁불퉁하게 거칠며 작은 둔덕 .. 2024. 12. 20. 껍질방석꼬투리버섯(껍질고약방석버섯) Kretzschmaria deusta 살아 있는 신갈나무 수피에 발생한 콩꼬투리버섯과의 독특한 버섯이다. 초기에는 회백색~회갈색의 어린 자실체들이 수피의 결을 따라 자라나고 점차 불규칙한 둥근 자실체는 옅은 적갈색을 띠며 방석 모양으로 성장하며 자낭각이 형성된다. 봄~가을 활엽수 죽은 그루터기나 살아있는 줄기에 발생한다. '껍질고약방석버섯(Hypoxylon deustum)'이라고도 한다. 한국, 일본, 필리핀, 유럽, 북중미 등에 분포한다. 2023. 10. 27. 서울 단면 ● 껍질방석꼬투리버섯 Kretzschmaria deusta ↘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방석꼬투리버섯속 자실체(자좌)는 불규칙한 방석 모양 또는 껍질 모양이 수 cm까지 펴진다. 초기에는 회백색에서 회갈색이며 나중엔 흑색이 된다... 2024. 12. 12. 다형빵팥버섯 Jackrogersella multiformis(Annulohypoxylon multiforme) 콩꼬투리버섯과 빵팥버섯속의 버섯이다. 검은빵팥버섯(Annulohypoxylon truncatum)과 비슷하지만 돌출된 자낭각이 작고 둔하다. 자작나무 등 쓰러진 활엽수 수간 껍질 표면 위에서 발생한다. 2023. 10. 26. 서울 2023. 11. 03. ● 다형빵팥버섯 Annulohypoxylon multiforme | birch woodwart ↘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빵팥버섯속 자실체(자좌)는 방석 모양, 둥근 모양 또는 가늘고 긴 모양 등이다. 처음에는 녹슨 붉은색이다가 후에는 암갈색-흑색이 된다. 표면은 지름이 1(2)~3cm 정도에 이르며 서로 융합되기도 하고 껍질이 없는 경우에는 더 넓게 펴지기도 한다. 표면은 다소 울퉁불퉁하게 거칠며 작은 둔덕 모양으.. 2024. 12. 11. 나이테가 있는,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자실체 속이 꽉 찬 점으로 방콩버섯(Daldinia verunicosa)이 아닌 콩버섯이다. 애기콩버섯(daldinia childiae)은 자루 형태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자실체는 지름은 1~3cm 반구형~콩모양으로 표면은 울퉁불퉁하며 갈색~적갈색에서 흑색이 된다.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 목탄 같은 검은색의 동심원 무늬가 나타나는데, 나이테로 1년에 1개씩 만들어진다. 이 버섯은 나이테가 무려 10개나 되니 10년 묵은 콩버섯이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 불가능하다. 검게 목탄화한 것은 불을 붙이는 부싯깃으로 유용하다고 한다. 2024. 10. 23. 경기 구리 ●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 Ki.. 2024. 11. 11. 검은점민팥버섯 Biscogniauxia atropunctata 자실체는 회색 표면이 검은색 점으로 덮여 있는 패치 형태로 자라며 전체적으로 검게 변한다. 성숙하면 검은 포자분출구멍에 의하여 백색의 점상이었다가 결국 거의 모두가 검게 된다. 병원성이 아닌 경우 이 버섯은 참나무와 기타 활엽수에서 부생하여 숙주 죽은 나무를 썩게 한다. 여름~가을 침엽수, 참나무류 숲의 쓰러진 나무나 껍질이 벗겨진 표면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한국, 일본, 북미에 분포한다. 2024. 09. 15. 서울 2024. 09. 24. 서울 2024. 10. 08. 서울 ● 검은점민팥버섯 Biscogniauxia atropunctata | hypoxylon canker ↘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민팥버섯속 자실체(자좌)는 길이 2~50cm.. 2024. 10. 20. 다형콩꼬투리버섯 Xylaria polymorpha, 노균 아파트 화단 썩어가는 그루터기에서 자란 다형콩꼬투리버섯, 흙에서 자란 개체는 자실체 윗부분이 망가지고 시간ㅇ 지나면서 소멸해 버린다. 그루터기 밑동에서 자란 것 일부만 자실체 머리 부분이 더 둥글고 통통하게 성장하고 있다. 영명 'dead man's fingers'이 뜻하는 '시체 손가락' 모양의 자실체가 까만 숟갈처럼 보기도 좋아졌다. 표면은 갈색~검은색 목탄질로 평활하며 속살은 흰색이다. 2024. 07. 21-23. 서울 2024. 10. 17. 서울. 검은 포자가 방출되고 난 뒤의 모습 2024. 05. 09. 서울 2024. 05. 31. 서울 ● 다형콩꼬투리버섯 Xylaria polymorpha | dead man's fingers ↘ 동충하초강 콩.. 2024. 8. 2. 껍질방석꼬투리버섯(껍질고약방석버섯) Kretzschmaria deusta, 유균 신갈나무 줄기, 작년에 자랐던 자실체는 죽어서 까맣게 말랐는데 다시 회갈색의 어린 자실체들이 수피의 결을 따라 흩어져 자라나고 있다. 분생자 시기로 보인다. 이 시기를 지나면서 불규칙한 둥근 자실체는 옅은 적갈색을 띠며 방석 모양으로 점차 성장하고 자낭각이 형성된다. 봄~가을 활엽수 죽은 그루터기나 살아있는 줄기에 발생한다. '껍질고약방석버섯(Hypoxylon deustum)'이라고도 한다. 한국, 일본, 필리핀, 유럽, 북중미 등에 분포한다. 2024. 07. 04. 서울 9일 후 변화된 모습 ● 껍질방석꼬투리버섯 Kretzschmaria deusta ↘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방석꼬투리버섯속 자실체(자좌)는 불규칙한 방석 모양 또는 껍질 모양이 수 cm까지 펴.. 2024. 7. 9. '시체손가락' 다형콩꼬투리버섯 Xylaria polymorpha 작년 여름, 아파트 화단 썩어가는 그루터기에서 까만 올챙이 모양의 노균 몇 개체를 발견하였는데 무엇인지를 몰라 발생 시기가 가까워진 올해 5월부터 그 자리를 계속 살피던 중 비 내린 다음날 마침내 이 버섯을 발견하였다. 그루터기는 썩어서 뽑혀서 치워졌지만 땅에 묻힌 부스러기 토막에서 자라난 듯하다. 당시는 마귀숟갈버섯(Trichoglossum) 종류로 생각하였는데, 이 유균의 모습은 전형적인 다형콩꼬투리버섯으로 사뭇 다른 모습이어서 앞으로의 변화 과정을 흥미롭게 지켜봐야 할 듯하다. 이 버섯은 영명이 '시체손가락'이란 뜻의 'dead man's fingers', 보기에 따라 시커먼 자실체가 정말 시체 손가락처럼 으시시하다. 개별 자실체는 곤봉형, 거꾸로 선 술병형, 방망이형 등으로 길이 5~8cm, 지름.. 2024. 5. 11. 알프레드왕의 케이크,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서울 야산에서 만난 콩버섯속 버섯이다. 자실체 속이 꽉 찬 것으로 보아 방콩버섯(Daldinia verunicosa) 아닌 콩버섯으로 보인다. 애기콩버섯(daldinia childiae)은 자루 형태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자실체는 지름은 1~3cm 반구형~콩모양으로 표면은 울퉁불퉁하며 갈색~적갈색에서 흑색이 된다.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 목탄 같은 검은색의 동심원 무늬가 나타나는데, 나이테로 1년에 1개씩 만들어진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난다. 검게 목탄화한 것은 불을 붙이는 부싯깃으로 유용하다고 한다. 2023. 09. 25. 서울 세로 단면 가로 단면 ●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 King Alfred's cake, cramp.. 2023. 12. 19. 알프레드왕의 케이크,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지리산 종주 능선에서 만난 콩버섯속 버섯이다. 콩버섯으로 보이나 자실체 속이 빈 방콩버섯(Daldinia verunicosa)일 가능성도 있다. 애기콩버섯(daldinia childiae)은 자루 형태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자실체가 아주 단단한데 갈라 볼 도구가 없어 살필 수 없었던 게 아쉽다. 일단 콩버섯으로 기록해 둔다. 자실체는 지름은 1~3cm 반구형~콩모양으로 표면은 울퉁불퉁하며 갈색~적갈색에서 흑색이 된다.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 목탄 같은 검은색의 동심원 무늬가 나타나는데, 나이테로 1년에 1개씩 만들어진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난다. 검게 목탄화한 것은 불을 붙이는 부싯깃으로 유용하다고 한다. 2023. 09. 22. 지리산 덕평봉 ● 콩버섯 Daldinia .. 2023. 11. 27. 마귀숟갈버섯 닮은, 다형콩꼬투리버섯 노균 Xylaria polymorpha 작년 여름 장마기에 아파트단지 화단에서 난버섯으로 보이는 버섯이 무더기로 발생한 썩은 나무 그루터기를 들여다보다 아주 특이한 형태의 검은 물체를 만난다. 땅콩처럼 생긴 검은 타원형 물체는 자루 형태를 갖투고 썩은 그루터기에 뿌리를 박고 있는 모습이어서 생명체임에는 틀림 없고, 아마도 버섯 등의 균류일 거라는 판단이 든다. 모양 상으로는 콩나물버섯과 마귀숟갈버섯속이 아닐까 싶은데, 이와 아주 유사한 형태의 버섯으로 마귀숟갈버섯(Trichoglossum hirsutum), 왈트마귀숟갈버섯(Trichoglossum walteri) 등이 있다. 이들 버섯과는 달리 썩어가는 그루터기 밑부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마귀숟갈버섯과는 크기는 비슷하나 머리 부분이 훨씬 둥글어 자루와 구별이 명확하고, 왈트마귀숟갈버섯.. 2023. 7.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