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추속3

두메고들빼기 어린 풀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13. 05. 18. 오대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모양 꽃은 혀모양꽃으로만 이루어진다. 꽃싸개는 3~.. 2014. 5. 21.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산씀바귀와 구별하기 두메고들빼기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깊은 산에서 자란다. 왕고들빼기(L. indica var. laciniata)와 산씀바귀(L. raddeana)에 비해 잎이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고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1. 07. 08.  금대봉       두메고들빼기 잎        두메고들빼기 잎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상추속)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날개.. 2012. 8. 2.
두메고들빼기의 줄기잎 Lactuca triangulata 태백산 정상부에서 만난 두메고들빼기, 꽃대 끝에 꽃망울이 달렸을 뿐 아직 꽃이 피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잎 모양을 보여 주고 있다. 두메고들빼기의 잎은 삼각형이거나 삼각상 심장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날개가 달린 긴 잎자루가 있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줄기와 이어지는 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있는데, 이런 점들이 산씀바귀와 다른 점이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 2012.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