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두건버섯과11

짧은대꽃잎버섯 Ascocoryne cylichnium 처음에는 자낭반이 좁쌀처럼 작지만 점차 지름 1cm에 가깝게 자라고, 가운데가 오목한 접시 모양에서 가장자리가 물결형으로 변하며 꽃잎 모양이 된다. 조덕현은 '원통자루곤봉버섯'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가을에 썩은 나뭇가지 또는 쓰러진 나무에 무리지어 자란다. 살짧은대꽃잎버섯(Ascocoryne sarcoides)은 아주 유사하나 자낭반이 단정한 컵 모양이다.     2023. 10. 26.  서울     2023. 11. 03.  위와 같은 버섯     ● 짧은대꽃잎버섯 Ascocoryne cylichnium  ↘  고무버섯목 물두건버섯과 짧은대꽃잎버섯속자실체의 지름은 0.5~2cm로 처음에 구형이나 나중에 접시 모양, 사발 모양 또는 서양팽이 모양으로 되고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주름이 잡힌다... 2024. 12. 11.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팽이 모양의 자낭반을 가진 팽이술잔고무버섯과는 다르고, 자루가 긴 진노란술잔고무버섯과도 다르다. 진황고무버섯이나 황색황고무버섯으로 보기에는 자낭반이 크고 여름에 발생한 점에서 긴황고무버섯으로 판단된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 열대아메리카에 분포한다.    2024. 09. 06.  서울    2024. 08. 18.  서울     ●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긴황고무버섯속자실체는 높이 1∼4mm의 극소형, 접시모양이다가 술잔 모양이 되며, 자낭반의 폭은 1∼5mm, 자실층은 오렌지황색, 가장자리와 바깥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나 백색의 미모가 있다. 대는 1∼2mm, 직경 0.5∼1mm, 원통형, 아래쪽으로 다소 좁아진다. 표면은.. 2024. 9. 27.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팽이 모양의 자낭반을 가진 팽이술잔고무버섯과는 다르고, 자루가 긴 진노란술잔고무버섯과도 다르다. 진황고무버섯이나 황색황고무버섯으로 보기에는 자낭반이 크고 여름에 발생한 점에서 긴황고무버섯으로 판단된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 열대아메리카에 분포한다.    2024. 07. 21.  서울      ●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긴황고무버섯속자실체는 높이 1∼4mm의 극소형, 접시모양이다가 술잔 모양이 되며, 자낭반의 폭은 1∼5mm, 자실층은 오렌지황색, 가장자리와 바깥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나 백색의 미모가 있다. 대는 1∼2mm, 직경 0.5∼1mm, 원통형, 아래쪽으로 다소 좁아진다. 표면은 담황색이다가 백색이 된다. 백색의 .. 2024. 8. 4.
짧은대꽃잎버섯 Ascocoryne cylichnium 좁쌀처럼 작아 보이던 유균이 달포를 지나서 만나니 주발 모양의 자낭반이 지름 1cm 에 가까운 꽃잎 모양으로 크게 자랐다. 함께 발생한 침접시버섯도 조금 더 크게 자란 모습이다. 조덕현은 '원통자루곤봉버섯'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가을에 썩은 나뭇가지 또는 쓰러진 나무에 무리지어 자란다. 살짧은대꽃잎버섯(Ascocoryne sarcoides)은 아주 유사하나 자낭반이 단정한 컵 모양이다.     2023. 10. 10.  서울    침접시버섯     ● 짧은대꽃잎버섯 Ascocoryne cylichnium  ↘  고무버섯목 물두건버섯과 짧은대꽃잎버섯속자실체의 지름은 0.5~2cm로 처음에 구형이나 나중에 접시 모양, 사발 모양 또는 서양팽이 모양으로 되고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주름이 잡힌다. 가.. 2024. 2. 21.
진황고무버섯 Bisporella sulfurina(Calycina claroflava) 자실체 지름 1~2mm의 극소형 버섯으로 황색황고무버섯과 아주 유사하다. 황색황고무버섯이 주로 여름에 발생하고 등황색인데 비해 진황고무버섯은 주로 가을에 발생하고 선황색이며 위로 접힌 모양ㅇ을 보이는 점에서 구별된다.  가을~봄 활엽수의 죽은 가지에 나며 흔히 죽은 콩버섯 위에 난다. 일반적으로 무리지어 나지만 드물게 홀로 난다.      2023. 09. 28-29.  구리       ● 진황고무버섯 Bisporella sulfurina | sulphur disco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황고무버섯속자실체의 지름이 0.5~1.5mm인 매우 작은 버섯이다. 불규칙한 컵 모양 또는 접시 모양으로 표면(자실층)은 밋밋하고 선황색이다. 가장자리와 바깥쪽 표면은 자실층보다 다소 연한 색이고 미세한 털이 .. 2024. 1. 8.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짧은대꽃잎버섯 Ascocoryne cylichnium 등산로 옆 재목더미의 썩어가는 재목 단면에 황색의 침접시버섯과 자줏빛의 짧은대꽃잎버섯이 함께 발생하였다. 침접시버섯은 자낭반 지름이 3-10mm이고 훙적색인 접시버섯에 비해 2-3mm로 소형이고 등황색인 점으로 구별된다. 주발형으로 자라던 짧은대꽃잎버섯은 가장자리가 오글거리는 꽃잎형으로 바뀌고 크기도 훨씬 커졌다. 2023. 09. 24. 서울 ● 침접시버섯 Scutellinia erinaceus ↘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접시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2~3mm로 어릴 때 다소 컵 모양이나 접시 모양으로 펴진다. 표면의 자실층은 어릴 때 연한 오렌지-황색이나 성숙하면 차차 칙칙한 오렌지-황색 또는 오렌지-적색으로 된다. 표면은 밋밋하고 광택이 나거나 칙칙하다. 바깥층과 가장자리는 칙칙한 갈색의 오렌지색이다.. 2023. 12. 15.
갈색잔버섯(갈색자루접시버섯)Tatraea macrospora 숲속 썩어가는 목재더미 위에서 발생한 극소형 버섯이다. 같은 물두건버섯과 버섯인 짧은대꽃잎버섯이 자라는 한쪽에서 좀 늦게 발견되었다. 자낭반 지름 2-8mm 쯤의 크기로 회색-회갈색이다. 살갗버섯속(Mollisia)일까 싶기도 하고 작은방패쟁반버섯(Adelphella babingtonii)과도 조금 유사하다 싶었는데, 확인 결과 갈색잔버섯이다. 자낭반 아랫면 자루의 모습을 제대로 잡지 못한 점이 아쉽다.  여름∼가을. 주로 활엽수의 그루터기, 썩은 둥치, 낙지 등에 나며, 침엽수 목재에도 발생한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 북미, 오세아니아, 노르웨이 등에 분포한다. 식독 불명이며 작아서 식용 가치는 없다.    2023. 09.  21.  서울       ● 갈색잔버섯 Tatraea macrospora  .. 2023. 11. 18.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추정) 자루가 있으니 팽이 모양의 자낭반을 가진 팽이술잔고무버섯은 아니다. 자루가 긴 진노란술잔고무버섯도 아닌 듯하다. 진황고무버섯이나 황색황고무버섯으로 보기에는 자낭반이 크다. 자루가 방추 모양으로 굵은 점이 좀 낯설지만 긴황고무버섯에 가장 가까워 보인다.    2023. 09. 18.  서울      ●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긴황고무버섯속자실체는 높이 1∼4mm의 극소형, 접시모양이다가 술잔 모양이 되며, 자낭반의 폭은 1∼5mm, 자실층은 오렌지황색, 가장자리와 바깥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나 백색의 미모가 있다. 대는 1∼2mm, 직경 0.5∼1mm, 원통형, 아래쪽으로 다소 좁아진다. 표면은 담황색이다가 백색이 된다. 백색의 미세한 털이.. 2023. 11. 12.
황색황고무버섯 Calycina citrina(Bisporella citrina) 자실체 지름이 1~3㎜인 극소형 접시 모양의 황색 버섯으로 표면은 밋밋하고 선황색이며 가장자리가 위로 말리는 경우가 많다. 자루가 없는 것이 있지만 대개 짧은 자루가 있다. 진황고무버섯(Bisporella sulfurina)과 아주 비슷한 모습으로 여름철에 난다. 진황고무버섯은 가을에 발생하며 흔히 위로 접히는 모습이 있어서 구별된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나무껍질이 없는 썩은 고목이나 죽은 가지에 무리를 지어 전체를 노랗게 덮는 목재부후균이다.      2023. 09. 03.  서울       ● 황색황고무버섯 Bisporella citrina | yellow fairy cups, lemon discos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황고무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1~3㎜로 쟁반 모양 또는 넓은 .. 2023. 9. 25.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자실체는 압정 모양이고 자낭반은 오렌지황색으로 1~5㎜ 정도로 아주 작고 접시 모양을 거쳐 평평하게 된다. 자루는 짧고 아래로 가늘어진다. 늦봄∼가을에 활엽수의 땅에 떨어져 있는 작은 줄기나 가지에 무리지어 난다. 2023. 08. 19. 서울 ●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긴황고무버섯속 자실체는 높이 1∼4mm의 극소형, 접시모양이다가 술잔 모양이 되며, 자낭반의 폭은 1∼5mm, 자실층은 오렌지황색, 가장자리와 바깥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나 백색의 미모가 있다. 대는 1∼2mm, 직경 0.5∼1mm, 원통형, 아래쪽으로 다소 좁아진다. 표면은 담황색이다가 백색이 된다. 백색의 미세한 털이 있다. 포자는 긴방추형, 양끝이 가늘어진다. 무색, 격.. 2023. 8. 24.
진노란술잔고무버섯 Hymenoscyphus calyculus 참나무류 목재들이 널려 있는 산허리에서 한 나무가지에 발생한 극소형 황색 버섯 무리를 만난다. 자낭반이 2~5mm쯤 되고 자루가 보이는 점으로 긴황고무버섯과 진노란술잔고무버섯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자낭반이 접시형보다 컵형이 뚜렷하며 꽤 긴 자루가 보이기도 해서 진노란술잔고무버섯으로 동정한다. 자루 부분을 유의해서 관찰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이 아쉽다. 여름~가을 너도밤나무, 참나무류의 가지나 잔가지에 뭉치거나 무리지어 난다. 2023. 08. 19. 서울 ● 진노란술잔고무버섯 Hymenoscyphus calyculus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술잔고무버섯속 자실체는 지름이 2~5mm인 매우 작은 버섯이다. 어릴 때는 접시 모양으로 가운데가 오목하지만 점차 편평하거나 원반 모양 또는 가운데.. 2023.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