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꽃과2 애기나팔꽃 Ipomoea lacunosa 메꽃과 고구마속의 한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치리카와 아파치 등 북미 인디언들은 뿌리를 식용하였다고 한다. 영어 이름은 'whitestar'(흰별) 또는 'white morning-glory'(흰나팔꽃). 우리나라에는 경기도와 인천에서 주로 발견된다. 아시아 동부와 유럽에도 귀화하여 분포한다. 별나팔꽃(Ipomoea lacunosa)은 꽃자루에 1-3개의 꽃이 달리는 애기나팔꽃에 비해 꽃차례가 길고 3-8개로 보다 많은 꽃이 달린다. 2022. 09. 15. 구리 ● 애기나팔꽃 Ipomoea lacunosa | whitestar, white morning-glory, pitted morning-glory ↘ 목련강 가지목 메꽃과 고구마속 한해살이풀줄기는 덩굴성이고.. 2022. 9. 30. 미국실새삼 Cuscuta pentagona 실새삼은 콩과식물에, 갯실새삼은 순비기나무에, 미국실새삼은 거의 모든 식물에 기생을 한다. 그만큼 미국실새삼의 생명력이 왕성하여 풀섶을 점령하다시피 하고 있다. ● 미국실새삼 Cuscuta pentagona / 메꽃과의 기생식물 덩굴성 줄기는 지름 1mm 내외, 높이 50cm 내외로 점성 덩굴손으로 다른 식물체 감는다. 잎은 어긋나고, 뿌리화하여 전체적으로 담황색이다.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며,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수술 5개, 암술1개이며, 암술머리 2개이다. 꽃부리속의 부속체는 비늘조각 5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구형이며, 지름 2~3mm이다. 기생식물이 숙주를 고를 때 냄새를 맡는다는고 하는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연구팀이 실제 토마토와 인공 토마토를 이용해 비교 실험한 결과 미국실새삼이 숙.. 2007. 8.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