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림살버섯속2

통발내림살버섯(통발진달래버섯) Clitocella popinalis(Rhodocybe mundula) 깔때기 모양의 흰 갓에 내린주름살, 자루 밑부분의 솜 같은 흰 균사 등 얼핏 흰깔때기소낭버섯이나 혹깔때기버섯을 떠올리게 하는 모습인데, 갓 표면에 방사상 주름선이 없고 주름살이 엉성하지 않고 촘촘한 것이 모양이 다르다. 균모의 주름살이 내린주름살이어서 깔때기버섯류와는 포자의 모양이 완전히 다르다.  여름~가을  숲속 낙엽 사이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유럽과 북미에 흔한 종이며 우리나라와 일본에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2024. 07. 13.  서울       ● 통발내림살버섯(통발진달래버섯) Clitocella popinalis  ↘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내림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6.5cm로 처음에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마침내 깔때기형으로 된다. 표면은 밋밋하고 처음은 백색-연.. 2024. 7. 25.
통발내림살버섯 Rhodocybe popinalis 대모산 능선길 주변에서 옹기종기 모여서 자라는 만난 흰색의 작은 버섯이다. 주름살버섯목 외대버섯과 내림살버섯속 통발내림살버섯으로 추정된다.     2021.09. 24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는 내림살버섯속으로 통발내림살버섯(Rhodocybe popinalis), 진달래버섯(Rhodocybe caelata), 국명이 없는 Rhodocybe mundula 등 3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조덕현 에서는 잘린내림살버섯(Rhodocybe truncata), 붉은끼내림살버섯(Rhodocybe roseiavellanea ) 등을 기록하고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 등에서는 Rhodocybe mundula를 통발내림살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2021.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