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매과2 늦가을에 꽃을 피운 납매 Chimonanthus praecox '중국납매'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는 늦가을에 꽃을 피웠다. 납매는 다 중국 원산이니 굳이 '중국'이란 수식어는 필요 없을 듯하다. '당매(唐梅)' 또는 '새양나무'라고도 하며 '납매과' 또는 '받침꽃과'로도 분류되고 있는데, 받침꽃과는 속이 다를 뿐 전체적으로 특성이 유사하다. ↓ 홍릉수목원 ● 납매 臘梅 Chimonanthus praecox / 목련목 꽃받침과 납매속의 낙엽교목 줄기는 뭉쳐나며 높이는 2∼4m이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마주나고 길이 7∼10cm이다.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잎 끝은 뾰족하고 얇지만 딱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1∼2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옆을 향하여 꽃이 피는데 좋은 향기가 난다. 꽃지름은 2cm 내외로 꽃받침과 꽃잎은 다수이며, 가운뎃잎은 노란색으로.. 2009. 11. 26. 납매 Chimonanthus praecox 열매와 씨앗, 수피 '랍(臘)'은 '섣달'(음력 12월)을 뜻하는 말이다. 납매(臘梅)는 섣달에 피는 매화라는 말이니, 과연 차가운 북풍이 불어오는 한겨울 하늘 아래에 향기가 강한 꽃을 피운다. 중국 원산으로 당매(唐梅)라고도 한다. 관상수로 널리 심는다. ↓ 홍릉수목원 납매 묵은 열매 납매 씨앗 납매 잎 납매 .. 2009. 3.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