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보6

<국보 제97호> 청자 연꽃 넝쿨무늬 매병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매병으로, 높이 43.9㎝, 아가리지름 7.2㎝, 밑지름 15.8㎝이다. 이 매병은 작고 야트막하나 야무진 아가리와 풍만한 어깨와 몸통, 잘록한 허리, 그리고 아래부분이 밖으로 약간 벌어진 곡선에서 전형적인 고려자기 임을 알수 있다. 아가리는 일반적인 매병 양식으로 .. 2012. 3. 10.
<국보 제61호> 청자 어룡형 주전자 (靑磁 魚龍形 注子) 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주전자로 높이 24.4cm, 밑지름 10.3cm이다. 용의 머리와 물고기의 몸을 가진 특이한 형태의 동물을 형상화했는데, 이런 물고기모양은 옛날부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상징적인 의미로 건축물에 많이 장식하였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용의 머리.. 2012. 3. 10.
<국보 제60호> 사자 모양 뚜껑 향로 국보 제60호,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靑磁 獅子形蓋 香爐) / 고려시대 고려 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 21.2㎝, 지름 16.3㎝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사자 모양의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3개의 짐승모양을 한 다리가 떠받치고 있는데, 전면에 구.. 2012. 3. 10.
<국보 제113호>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 고려 청자 ●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靑磁 鐵畵 楊柳文 筒形 甁) / 국립중앙박물관 대롱 모양의 병에 두 그루의 버들이 그려져 있고, 병의 윗부분에 모깎기가 되어 있을 뿐 별다른 장식이 없고 여백의 미가 느껴지는 소박한 병이다. 술을 담는 병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버드나무가 그려진 한.. 2012. 3. 10.
<국보 제94호> 청자 참외 모양 병 ● 국보 제94호, 청자 참외 모양 병 / 고려시대 가장 유명한 고려청자, 청자기의 대표선수라 할 수 있는 명작인 청자 참외모양 꽃병이다. 경기도 장단군에 있는 고려 인종(1123~46)의 장릉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고 있는데, 정식으로 발굴된 것이 아니라 1916년에 총독부박물관이 일본인 골동.. 2012. 3. 10.
<국보 제186호>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976년 경기도 양평군 신화리 한강변에서 농지정리를 하다가 우연히 발견된 높이 30㎝의 불상이다. 그곳에서 기와조각 등 유물이 많이 나온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대좌와 광배를 잃었으나, 보존 상태가 매우 좋고 도금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다. 얼굴.. 2012.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