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꼭두서니속2 백운풀 Hedyotis diffusa 전남 백운산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어 백운풀이라 불리는 꼭두서니과 수염치자풀속의 한해살이풀이다. 백운산 산기슭 외에도 제주도에서 자라는데, 제주도에서 만난 것이다. 꽃자루가 비교적 짧은 백운풀과 달리 긴두잎갈퀴는 꽃자루가 열매 길이의 2-4배쯤 된다. 제주도 보목 ● 백운풀 Hedyotis diffusa / 용담목 꼭두서니과 수염치자풀속(개꼭두서니속) 높이 10-3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거나 곧추선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지만 거칠거칠하며 길이 1~3.5cm, 폭 1.5~3mm로서 주맥만이 나타난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2mm 정도로서 백색이거나 다소 붉은빛이 돌며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0-3mm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열편.. 2014. 7. 13. 낚시돌풀 Hedyotis biflora var. parvifolia / 수염치자풀속 8종 추자도에서 만난 낚시돌풀(Hedyotis biflora var. parvifolia). '낚시돌꽃', '갯치자풀'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낚시돌풀은 바닷가 바위 틈에서 자라는 꼭두서니과 수염치자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남해안과 제주도 등지에 자생한다. 국가단위 약관심종(특정식물 3등급)으로 분류되고 있다. 네 갈래로 갈라지는 하얀 꽃이 핀 모습이 앙증스럽다. 도감에서는 꽃이 7~8월에 핀다고 하는데, 8월 10일 현재 꽃은 거의 지고 없고 어쩌다 한두 송이 핀 것이 보일 뿐... 대개 7월에 핀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잎이 다육질인 돌나물을 연상시켜 돌나물과로 생각하기 쉬운데, 꽃이 네 갈래로 피고 짧은 잎자루에 마주 난 잎 등 꼭두서니과의 특징이 또렷하다. 추자도 ● 낚시돌풀 Hedyotis biflo.. 2011. 9.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