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4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뿌리잎이 삼각상 난형으로 3개의 작은잎으로 나누어지고 작은잎에 자루가 있는 점에서 젓가락나물과 비슷하나 잎 갈래조각이 보다 넓고, 열매는 구형인 점으로 원통형인 젓가락나물과 구별된다. 1회 3출엽이고 작은 잎의 갈래조각이 넓고 꽃잎이 타원형인 점으로, 잎이 2회 3출하며 갈래잎이 가늘고 좁으며 꽃잎이 좁고 긴 개구리미나리와 구별된다.  햇빛이 잘 드는 습한 땅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중부 이남에서 자라며, 히말라야 산지와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2024. 06. 23.  서울          ●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밑부분에 퍼진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복모가 있고 높이 30-80cm이며..

카테고리 없음 2024.06.28

엄마 고라니, 새끼 고라니 | water deer

대모산 산책을 나섰다 골짜기로 내려서는 길, 후다닥 소리에 보니 고라니 한 마리가 산삐알로 치다르고 있다. 한 순간 동작을 멈추고 뒤를 돌아보는데, 골짜기 아래쪽에는 털이 까만 어린 새끼 고라니 한 마리가 고개를 돌려 나를 주시한 채 얼음이 되어 있다. 내 눈길에 사로잡힌 듯 미동도 못한다. 1분여 동안 셔터를 수없이 누르는 동안 아주 잠깐 고개를 돌리나 싶었는데 그대로 얼음, 카메라를 내리고 "애야, 얼른 가~"라는 소리에 땡, 비로소 엄마 고라니에게로 내달린다.     2024. 06. 23.  서울      2022. 11. 18.  서울      ●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 water deer  ↘  포유동물강 우제목 사슴과 고라니속몸통은 102-112cm, 꼬리는 8cm 정도..

자연 속 동물 2024.06.28

골사초 Carex aphanolepis

개찌버리사초(Carex japonica)와 유사하나 암꽃이삭에 자루가 거의 없으며, 과낭 부리가 짧고 밝은색이고 암술대가 일찍 떨어지는 점으로 구별된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하며 산지 그늘 풀밭에 자란다.    2024. 06. 23.  서울      ● 골사초 Carex aphanolepis  ↘  백합강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높이 20~40cm이다. 땅속줄기는 길게 뻗고, 줄기는 느슨하게 뭉쳐나며 거칠다. 줄기 아래에서 나오는 잎은 줄기보다 짧고, 줄기에 달리는 잎은 꽃차례보다 길게 자란다. 잎 너비는 2~4mm이다. 아래쪽의 잎집은 연한 갈색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꽃차례의 포는 잎 모양이고 잎집이 없으며, 가장 아래의 것은 매우 길다. 가장 위의 작은이삭에는 수꽃만 달리고, 길이..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지하철 역 입구 울타리에 닭의덩굴이 있어 담아본다. 열매의 날개 가장자리가 결각 없이 밋밋하고 열매 자루가 가늘게 긴 것으로 보아 큰닭의덩굴이 아니다. 잎밑 또한 양쪽 끝이 날카로운 점도 닭의덩굴의 특징에 가까워 보인다. 화기가 지나 꽃을 담지 못한 점이 다소 아쉽다.   영명은 '잡목림의 덩굴식물'이라는 뜻의 'copse bindweed'. 원산지는 유럽, 서아시아로 북반구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2024. 06. 23.  서울      ●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 copse bindweed, thicket bind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한해살이 덩굴풀줄기는 길게 뻗어 다른 물체에 감기고 가지가 많으며 종선과 미세한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

우리 풀꽃 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