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5

날개짓 소리 들리는 나비, 홍점알락나비 Hestina assimilis

치악산 둘레길 임도에서 날개짓 소리가 들려 고개를 돌려 보니 뜻밖에 홍점알락나비나 날고 있다. 만날 때마다 날개짓 소리를 듣게 되는 나비! 뒷날개에 붉은 원형 무늬들이 있어 영명은 red ring skirt. 수액이나 꽃에 모이지 않는다더니 동물 배설물 곁에 앉는다. 먹이 식물은 팽나무, 풍게나무 등이다.  원래 중국 남부와 타이완, 일본 가고시마 등이 서식지였지만 온난화로 일본 혼슈까지 나타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2007년 부산 금정사에서 본 이래 서울 가까운 천마산에까지 보았으니 기후 온난화의 심각성을 보여 주는 듯하다. 한반도 중부 이남, 동티베트, 중국, 홍콩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홍점알락나비 Hestina assimilis | red ring ..

나비와 나방 2024.06.25

꿀풀 Prunella asiatica(Prunella vulgaris subsp. asiatica)

푸른 보랏빛의 꿀풀꽃이 임도변을 따라 만발하였다. 꽃을 따서 꽁지를 빨아보는데 공기만 빨려 들 뿐 단꿀맛 즐겼던 어린 시절 추억과는 다르다.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두메꿀풀은 땅속에 뿌리줄기가 없으며 전체가 가늘고 연약하고 꽃부리가 작다. 두메꿀풀에 비해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뻗는 가지가 발달하는 특징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제비꿀'로 불렸으며, 꽃이 지고 난 여름에는 말라버리므로 '하고초(夏枯草)'라 하며 약용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시베리아 남동부 등 동북 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6. 15.  연천 고대산 임도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꿀풀 Prunella asiatica | heal-all, self-heal  ↘  목련강 국화아강 꿀풀목 ..

우리 풀꽃 2024.06.25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울릉도에 나고 분홍색인 섬초롱꽃(C. takesimana)에 비해서 잔체적으로 털이 많고 윤기가 나지 않으며, 꽃은 희거나 노란빛이 도는 흰색인 점으로 구분된다. 평북에서 나는 변종 자주초롱꽃(var. rubriflora)은 꽃이 홍자색으로 피고 약간 짙은 반점이 있다.  산지의 풀밭이나 계곡 가까운 사면에서 자란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북 지역,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 spotted bellflower  ↘  목련강 국화아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 여러해살이풀식물 전체에 거친 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

우리 풀꽃 2024.06.25

고양이 · 사자를 행복하게 하는,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잎이 하얗게 물들며 꽃을 피운 개다래나무! 수꽃이 먼저 피는 탓인지 수꽃만 보이고 암꽃으로 보이는 나무들은 아직 피지 않아 꽃봉오리인 상태이다. 다래나무속의 나무는 암수딴그루이다. 5월에 꽃이 피는 다래나 쥐다래에 비해 6~7월에 꽃이 피는데 이 시기에 잎의 앞면 상반부가 흰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개다래 열매는 맛이 햣바닥을 찌르는 듯하며 달지 않다. '말다래나무'라고도 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 silver vine, cat powder  ↘  목련강 차나무목 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덩굴나무줄기 길이가 5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어릴 때 연갈색 털이 있으며 간혹 가시 같은 억센 털이 있고..

우리 나무 2024.06.25

사향제비나비 Byasa alcinous, 애벌레

노구소교 다리를 건너 임도로 들어서기 전 농로길, 철조망을 덮은 쥐방울덩굴에서 사향제비나비 애벌레를 만난다.  사향제비나비 애벌레의 먹이는 바로 쥐방울덩굴, 등칡 등과 같은 쥐방울덩굴과 식물이다. 원통형 몸은 검고 제3∼4배마디에 흰 가로띠가 있으며 허리에는 육질의 긴 돌기가 줄지어 있다. 수컷 몸에서 사향 냄새가 난다.  긴꼬리제비나비와 흡사하나 가슴과 배의 측면에 붉은 털이 나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애벌레에 기생하는 사향제비나비납작맵시벌 등의 천적에 의해서 수가 조절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사향제비나비 Byasa alcinous(Atrophaneura alcinous) | Chinese windmill  ↘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호랑나비과몸에서 사향냄새..

나비와 나방 202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