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모산재 2006. 5. 10. 23:52


다른 이름으로 놋동이, 바구지라고도 한다. 줄기 속이 비어 애기가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가벼워서 애기젓가락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뺀 풀 전체를 모간(毛茛)이라 부르며, 황달을 고치고 눈에 낀 백태를 없애는데 약용한다.


마치 코팅이라도 한 듯이 꽃잎에 광택이 있는데, 이는 유독성 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짧은 근경에서 가늘고 긴 뿌리와 뿌리잎이 뭉쳐난다.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흰털이 밀생하며 속은 비어있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모여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오각상 원심장형으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흔히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도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2.5-7cm, 폭 3-1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줄기잎은 엽병이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다.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12-20mm이고 취산상으로 갈라진 꽃자루에 1개씩 달리며 5개의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으로서 겉에 털이 있고 수평으로 퍼지며 안으로 오목해진다. 꽃잎도 5편으로서 꽃받침보다 2-2.5배 길고 도란상 원형이며 밑부분에 소비늘조각이 있고 윤채가 있으며 황색이고 기부에 1개의 꿀샘이 있다. 수술과 암술이 많고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꽃턱은 짧고 털이 없다. 열매가 모여서 원형의 취과를 형성한다. 수과는 도란상 원형이고 약간 편평하며 털이 없고 길이 2-2.5mm로서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