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미역취 열매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모산재 2016. 10. 24. 22:46


그다지 맛이 좋지 않아서인지 돼지나물이라고도 하는 미역취, 이름이 미역 맛과 비슷한 나물 맛에서 왔다고도 하고 봄에 자라난 잎이 미역을 연상시키는 데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철원 한탄강 부근 산지











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 초롱꽃목 국화과 미역취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5-85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가는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뻗어가며 자란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줄기잎은 길이 7-9cm, 나비 1-1.5cm로서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고 엽병이 없어진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12-14mm이고 흔히 3-5개의 산방상 이삭꽃차례로 되며 꽃자루는 길이 3-6mm로서 털이 있고 포는 길이 1mm정도이다. 총포는 통상 종형으로서 길이 5-5.5mm, 나비 5mm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1mm정도이며 중편은 둔두이고 내편은 선형 둔두이다. 혀꽃은 길이 6.5-8mm, 나비 1.5-2mm로서 황색이며 양성꽃은 보다 짧다. 수과는 원통형이고 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관모는 길이 3.5mm 정도이다. <국립수목원 식물도감>






미역취속(Solidago) 자생종과 귀화종 : 국가표준식물목록


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산미역취 Solidago virgaurea var. leiocarpa (Benth.) A. Gray : 산방상 이삭꽃차례로 꽃자루는 길이 3~6mm이다.

나래미역취 Solidago virgaurea var. coreana Nakai : 울르미역취 비슷하나 꽃부리가 길이 5mm, 나비 1.5mm 정도이고 머리모양꽃차례가 밀착한다.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Nakai) Kitam. :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12-15mm로서 원추상으로 달린다. 울릉도

* 잔미역취 Solidago virgaurea var. taquetii : 한라산의 정상 부근. 재배하면 포기가 둥글고 낮게 자라는 왜성의 미역취.


<귀화종>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L. : 높이 1.5~2.5m. 잎은 3맥이 뚜렷하고 톱니가 희미하다.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Aiton : 높이 1m. 잎에는 톱니가 또렷하다.




 => 하지만 아래 논문에 따르면, 미역취와 울릉미역취만 인정.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형질들은 미역취의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음



<미역취 및 근연분류군(국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 장창석, 양선규, 오병운. 식물분류학회지 42권1호, 2012년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S. virgaurea complex)에는 미역취(S. virgaurea subsp. asiatica), 잔미역취(S. virgaurea var. taquetii), 나래미역취(S. virgaurea var. coreana), 산미역취(S. virgaurea subsp. leiocarpa), 울릉미역취(S. virgaurea subsp. gigantea) 등 5가지의 종하분류군이 보고되고 있으나, 분류군의 실체 및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바탕으로 국내의 9개 자생지 집단을 조사하여 미역취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의 실체 확인 및 분류학적 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문헌 및 표본 관찰을 통해 동아시아산 미역취속의 분포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역취는 유럽산 미역취(S. virgaurea L.)와 명확히 구분되는 독립된 종(S. japonica Kitam.)으로 인정되었으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검색형질들은 미역취의 해당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모두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