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

용수염 Diarrhena japonica / 용수염, 껍질용수염, 광릉용수염의 구분

모산재 2008. 11. 28. 23:28

 

태백산 이남 그늘진 숲 속에서 자라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용수염이 열매의 거의 절반  정도가 껍질 위로 드러나는 데 비해, 껍질용수염은 껍질이 열매를 덮고 있다. 

 

 

 

 

↓ 동해 무릉계곡

 

 

 

 

 

↓ 남한산 

 

 

 

 

 

 

 

 

 

● 용수염 Diarrhena japonica | East Asian beakgrain   /   벼과 용수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80cm이다. 뿌리줄기는 짧다. 잎은 편평하고 밝은 녹색이고 길이 20-30㎝, 나비 8-15mm로서 양끝이 좁으며 때로는 겉에 털이 있고 잎혀(葉舌)은 길이 0.5-1mm로서 두꺼운 막질이며 자른 듯한 모양이다.

7-8월에 꽃이 피는데 꽃차례는 길이 10-20㎝로서 마디에서 1-2개씩 가지가 옆으로 퍼진다. 작은이삭은 길이 3-5mm로서 녹색이고 1-3개의 잔꽃으로 된다. 첫째 포영은 길이 0.7mm정도로서 1맥이 있으며 둘째 포영은 길이 1.5mm정도이다. 양성화의 호영은 길이 3-4mm로서 3맥이 있고 끝이 둔하며 막질이고 내영은 이보다 약간 짧으며 밋밋하다. 수술은 2개이고 꽃밥은 길이 1mm 정도이다.

 

 

 

 

 

※ 용수염, 껍질용수염, 광릉용수염의 구분

 

☞ 용수염(D. japonica)

화서는 길이 10-20cm, 가지는 각 마디에 1-2개씩 성기게 나고, 가지는 다시 두 갈래로 분지를 하고 가지 끝에 소수가 달린다. 영과의 성숙시에 절반 이상이 호영과 내영 밖으로 드러난다. 내영의 용골부는 돌기물이 없이 밋밋하다.

☞ 껍질용수염(D. mandshurica)

원추화서는 길이 12-20cm, 폭 약 1cm로 조밀하게 수축되어 직립한다. 영과는 성숙시에 호영과 내영 밖으로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내영의 용골부는 돌기물이 있어 거칠다

☞ 광릉용수염( D. fauriei)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20㎝로서 곧추서며 처음에는 가지가 곧추서다가 차차 벌어진다. 내영의 용골부는 돌기물이 있어 거칠다.

 

 

 

☞ 껍질용수염 => https://blog.daum.net/kheenn/15857502

☞ 광릉용수염 => https://blog.daum.net/kheenn/15852499

'벼과 사초과 골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래새(추정) Stipa sibirica   (0) 2008.11.28
실새풀 Calamagrostis arundinacea  (0) 2008.11.28
새 Arundinella hirta  (0) 2008.11.26
갯쇠보리 Ischaemum anthephoroides  (0) 2008.11.23
개억새 Eulalia speciosa  (0) 2008.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