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ctifluus holophyllus4 전나무털젖버섯 대관령 '국민의 숲', 전나무 숲길에서 만났으니 전나무털젖버섯이지 싶다. '흰주름젖버섯' '넓은갓젖버섯' '성긴주름젖버섯'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 왔던, 주름이 성긴 털젖버섯으로 최근 '전나무털젖버섯'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Lactifluus pseudohygrophoroides) 등 새로운 국명을 얻어 분화되었는데 두 종의 구별이 쉽지 않다. 종명 holophyllus는 전나무(Abies holophylla)의 종소명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서식지가 전나무와 관련된다. 2021년 아래 인용된 논문에 따르면 전나무와 연관되면 '전나무털젖버섯', 소나무와 참나무와 연관되면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이다. 그렇다면 이 버섯은 전나무털젖버섯이 된다. 그런데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에서는 "활엽수 부후.. 2024. 10. 10. 전나무털젖버섯 Lactifluus holophyllus 아름드리 소나무가 늘어선 오도산 기슭과 골짜기 주변에서 만난 버섯이다. '흰주름젖버섯' '넓은갓젖버섯' '성긴주름젖버섯'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 왔던, 주름이 성긴 털젖버섯으로 최근 '전나무털젖버섯'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Lactifluus pseudohygrophoroides) 등 새로운 국명을 얻어 분화되었는데 두 종의 구별이 쉽지 않다. 종명 holophyllus는 전나무(Abies holophylla) 종명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서식지가 전나무와 관련된다. 2021년 아래 인용된 논문에 따르면 전나무와 연관되면 '전나무털젖버섯', 소나무와 참나무와 연관되면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이다. 그렇다면 이 버섯은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가 된다. 문제는 전나무털버섯이 활엽수림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이며, '한반도.. 2024. 8. 22.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 Lactifluus pseudohygrophoroides <= 흰주름젖버섯 Lactarius hygrophoroides 일본이깔나무(낙엽송)이 숲을 이룬 작은 공터, 간벌한 리기다소나무 재목을 쌓아 놓은 주변 땅에 제법 커다란 딱 한 송이의 버섯이 피었다. 희고 성긴 주름, 눈에는 익었지만 흔한 버섯이 아니다. Lactarius hygrophoroides라는 학명으로 '흰주름젖버섯', '넓은갓젖버섯', '성긴주름젖버섯'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온 무당버섯과 털젖버섯속의 버섯이다. 지금은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Lactifluus pseudohygrophoroides)와 국명 미정의 '전나무털젖버섯'(Lactifluus holophyllus) 두 종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아주 비슷하여 구별이 어렵다. 2021년 아래 인용된 논문에 따르면 전나무와 연관되면 '전나무털젖버섯', 소나무와 참나무와 연관되면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이다... 2023. 8. 24. 전나무털젖버섯 Lactifluus holophyllus 야산의 능선, 참나무류가 주를 이룬 비탈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근처에 리기다소나무도 있어 솔잎이 영향을 미치는 땅이다. '흰주름젖버섯'이라 불려 왔던 젖버섯으로 최근 비슷한 종들이 '전나무털젖버섯' '넓은갓털젖버섯아재비' 등 새로운 국명을 얻어 분화되었는데 구별이 쉽지 않다. 종명 holophyllus는 전나무(Abies holophylla) 종명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서식지가 전나무와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한반도의생물다양성'에서는 활엽수 부후목에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으로 강원도에 분포한다고 기재하고 있다. 2023. 07. 24. 서울 ● 전나무털젖버섯 Lactifluus holophyllus ↘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털젖버섯속갓은 평반구형에서 오목편평형이 되며, .. 2023. 7.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