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흰목이속4

미역흰목이 Phaeotremella fimbriata(Tremella fimbriata) (?) 산길 옆 참나무 그루터기, 수피와 변재 사이에 나풀나풀 물결형 꽃잎이 다발을 이룬 듯 검푸른 버섯(?)이 자라고 있다. 종잇장처럼 얇은 자실체는 말라서 그런지 시각적으로 보는 것과 달리 풀을 먹인 듯 뻣뻣하다. 미역을 연상시키는 모습이 꽃흰목이와 동일종으로 보기도 하는 미역흰목이(Tremella fimbriata)와 유사한 모습이다. 제주도에서 보고되는 물두건버섯과의 잎심장두건버섯(Cordierites frondosa)도 유사하지만 색깔이나 형태 질감 등에서 동일하다는 느낌이 딱히 들지 않는다. 또 Ionomidotis frondosa도 꽤 유사한 모습이다.    2024. 09. 26.  서울    2024. 10. 01.  같은 버섯     ● 미역흰목이 Phaeotremella fimbriata  .. 2024. 10. 20.
늦가을 꽃흰목이 Tremella foliacea => Phaeotremella foliacea 젤라틴질의 자실체는 꽃잎 모양의 자실체 조각이 서로 중첩하여 꽃다발처럼 된다. 꽃잎 모양으로 갈라진 조각은 흰목이보다 크며 연한 분홍색과 연한 자갈색 등으로 반투명하고 연한데 건조하면 거의 흑색으로 된다. 흰목이과의 버섯으로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에 뭉쳐서 난다. 2022. 11. 01-02. 서울 ● 꽃흰목이 Tremella foliacea | leafy brain ↘ 흰목이목 흰목이과 흰목이속 버섯의 지름은 6-12㎝이고 높이는 3-6㎝로 꽃잎 모양으로 갈라진 조각은 흰목이보다 크며 물결처럼 굽이쳐 겹꽃 모양을 나타낸다. 연한 분홍색 또는 연한 자갈색 등으로 반투명하고 연하나 건조하면 거의 흑색으로 된다. 포자의 지름은 7×6㎛이고 무색의 구형이다. 담자기의 지름은 9-10㎛로 구형이며 흰목.. 2022. 11. 3.
꽃흰목이버섯 Phaeotremella foliacea(Tremella foliacea) 젤라틴질의 자실체는 꽃잎 모양의 자실체 조각이 서로 중첩하여 꽃다발처럼 된다. 꽃잎 모양으로 갈라진 조각은 흰목이보다 크며 연한 분홍색과 연한 자갈색 등으로 반투명하고 연한데 건조하면 거의 흑색으로 된다. 흰목이과의 버섯으로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에 뭉쳐서 난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꽃흰목이 Tremella foliacea ↘ 흰목이목 흰목이과 흰목이속 버섯의 지름은 6-12㎝이고 높이는 3-6㎝로 꽃잎 모양으로 갈라진 조각은 흰목이보다 크며 물결처럼 굽이쳐 겹꽃 모양을 나타낸다. 연한 분홍색 또는 연한 자갈색 등으로 반투명하고 연하나 건조하면 거의 흑색으로 된다. 포자의 지름은 7×6㎛이고 무색의 구형이다. 담자기의 지름은 9-10㎛로 구형이며 흰목이 형과 닮았다. ☞ .. 2022. 10. 1.
꽃흰목이 Tremella foliacea => Phaeotremella foliacea 젤라틴질의 자실체는 꽃잎 모양의 자실체 조각이 서로 중첩하여 꽃다발처럼 된다. 꽃잎 모양으로 갈라진 조각은 흰목이보다 크며 연한 분홍색과 연한 자갈색 등으로 반투명하고 연한데 건조하면 거의 흑색으로 된다. 흰목이과의 버섯으로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에 뭉쳐서 난다. 2022. 09. 01. 서울 대모산 2023. 09. 03. 서울 ● 꽃흰목이 Tremella foliacea | leafy brain ↘ 흰목이목 흰목이과 흰목이속 버섯의 지름은 6-12㎝이고 높이는 3-6㎝로 꽃잎 모양으로 갈라진 조각은 흰목이보다 크며 물결처럼 굽이쳐 겹꽃 모양을 나타낸다. 연한 분홍색 또는 연한 자갈색 등으로 반투명하고 연하나 건조하면 거의 흑색으로 된다. 포자의 지름은 7×6㎛이고 무색의 구형이다. 담자기의 .. 2022.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