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늘버섯속3

그늘버섯 Clitopilus prunulus (추정) 낙엽이 쌓인 숲속 빈터에 2개체만 발견되었다. 비교적 온전한 편이지만 약간 말라서 갓이 말린 모습으로 회갈색 갓에 희고 구부러진 자루가 유난히 눈에 띈다. 주름살은 내린 듯한 바른 주름살인데 붉은빛이 비쳐 외대버섯과의 특징을 보인다. 그늘버섯과 비교적 부합하는 특징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땅에서 발생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나 비슷한 독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02.  경기 구리       ● 그늘버섯 Clitopilus prunulus | miller, sweetbread mushroom  ↘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그늘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5~9cm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접시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고, 회백색이며 미.. 2024. 10. 26.
'꼬마그늘버섯' Clitopilus hobsonii 백운산 등산로 계단 재목의 땅과 맞닿은 부분에서 무리지어 발생한 갓 지름 3~15mm의 아주 작은 흰 버섯이다. 평평귀버섯과 발생 시기가 같은 데다 모양이 비슷해서 혼동된다. 평평귀버섯과 달리 아주 짧은 자루가 나타나기도 한다. 아직 국명이 없어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 사용하는 '꼬마그믈버섯'이라는 임시명으로 기록해 둔다. 비슷한 버섯으로 땅이나 돌에서 발생하는 흰꼬마외대버섯=삼풀외대버섯(Entoloma chamaecyparis), 나무에서 발생하는 빈외대버섯=평원외대버섯(Entoloma depluens) 등과 유의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봄부터 초겨울까지 죽은 활엽수 줄기나 부스러기에서 발생한다. 유럽, 오세아니아, 동남아시아, 남미, 북미, 아프리카 동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할 수 없다.. 2024. 8. 28.
'꼬마그늘버섯' Clitopilus hobsonii 썩어가는 재목에서 무리지어 발생하는 아주 작은 흰 버섯이다. 평평귀버섯과 발생 시기가 같은 데다 모양이 비슷해서 혼동된다. 평평귀버섯과 달리 아주 짧은 자루가 나타나기도 한다. 아직 국명이 없어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 사용하는 '꼬마그믈버섯'이라는 임시명으로 기록해 둔다. 비슷한 버섯으로 땅이나 돌에서 발생하는 흰꼬마외대버섯=삼풀외대버섯(Entoloma chamaecyparis), 나무에서 발생하는 빈외대버섯=평원외대버섯(Entoloma depluens) 등과 유의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봄부터 초겨울까지 죽은 활엽수 줄기나 부스러기에서 발생한다. 유럽, 오세아니아, 동남아시아, 남미, 북미, 아프리카 동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할 수 없다.     2024. 07. 10.  서울      .. 2024. 7. 22.